바닥 (bottom) 하락을 지속하던 주가가 하락을 멈추고 상승으로 전환하였을 때 주가는 바닥을쳤다고 한다. 최저주가를 바닥 또는 바닥권이라고 한다.
단일 가격이 아닌 일정한 폭을 가진 가격에 의해 저가를 포착하려고 할 때 이것을바닥권이라고 하며 바닥권을 굳히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바닥 굳히기'라고 한다.
좁은 의미로 보면 현재 바닥인 주가도 보다 넓은 바닥일 수도 있다.이와 같은 때 앞의 바닥을 첫번째 바닥, 더 깊은 바닥을 두번째 바닥이라고 하며 더이상의 바닥이 없다고 생각될 때 이 것을 큰 바닥이라고 한다.
반대매매(covering) 선물거래에 있어서 만기 이전에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보유포지션에 반대되는 포지션을 취하는 거래
반덤핑관세(anti-dumping duties) 생산원가 이하로 덤핑수출하는 품목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
반전일 (key reversal day) 어느날 대량거래를 수반한 주가가 최고치 또는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그날 이후주가 흐름이 갑자기 반전하게 된다. 바로 그날을 반전일이라 한다. 반전일은 하락반전일(top reversal day)과 상승 반전일(dottom reversal day)로 구분된다.
때로는 추세의 반전이 하루가 아닌 이틀에 걸쳐 이루어지는 때도 있는데 이때는마치 반전일이 둘로 분리된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전일이 이틀에 걸쳐이루어지려면, 첫째날은 주가가 최고치를 기록하고 종가도 최고치 근처에서 형성되지만, 둘째날은 주가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눈에 띄게 약화되면서 2일전의 종가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에서 종가를 형성하게 된다.
1일반전이나 2일반전은 기본적인 전환 패턴으로서 일반적으로 대량의 거래량이수반되고 있으며, 상승추세의 천장에서 뿐만 아니라 하락추세의 바닥에서도 종종나타난다. 또한 주가가 바닥을 확인하고 상승추세로 돌아설 경우에는 비교적 서서히상승하지만, 반대로 천장을 확인하고 하락추세로 돌아설 경우에는 그 움직임이 비교적 빠르다.되돌림주가 움직임은 일방적으로 상승이나 하락만을 지속할 수가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서상승과 하락을 되풀이하며 순환한다. 즉 이익실현과 손실방지를 거래를 통하여 행사하므로써 주가의등락은 지속적인 상승에 반발하여 자율반락하는 현상을 되돌림(retrace)라고한다. 또한 다른 말로 Pull - Back 현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주가 움직임은 일방적인 상승이나 하락만을 반복할 수 없으므로, 일단되돌림 현상이 확인되면 그동안 상승폭( 또는 하락폭)의 어느 특정 비율 부근에강력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형성될 것임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알려진 되돌림의 비율은 25%(1/4), 33%(1/3), 50%(1/2),66%(2/3), 그리고 75%(3/4)이며, 이러한 비율은 여러 분석가들에 의하여 매우중요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알려져왔다.
반투자(反投資, disinvestment) 사용중인 자본재를 처분하거나 유지 또는 대체를 하지 않음으로써 자본투자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수시키는 것 ⇔ 투자
발행시장(primary market) 새로운 증권을 발행하여 최초의 소유자에게 매출되기까지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장으로 1차시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 유통시장
방어적 풋(protective put) 어떤 기초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우려가 있을 때, 그 풋옵션을 매수함으로써 가격하락에 따라 발생할 손실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한하려는 거래기법
향후 시세가 폭락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현물주식포트폴리오에 연동하는 주가지수풋옵션을 매수하여 시세하락시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방어적 풋의 경우 시세가 크게 하락할 경우 풋옵션을 행사함으로써 포지션 전체를손실을 한정할 수 있으나 시세가 예상과는 반대로 상승할 경우에는 현물포트폴리오를 단독으로 보유하는 경우보다 풋옵션 매수시에 지불하는 프리미엄만큼 이익이감소 된다.
따라서 시세가 풋옵션 매수시의 옵션가격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면 포지션 전체의이익은 없어지는 결과가 된다.
방어주 (defensive stock) 경기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주가의 움직임이 민감하지 않은 주식을 말한다. 경기변동에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준의 경영성과를 꾸준히 유지하는 음식료 등 생활필수품과 관련된 산업에 속한 주식이 이에 속한다.
배당기산일 (record date of dividend pay-out) 각 주식에 대하여 배당금이 계산되는 최초의 일자를 말한다. 구주의 경우에는 회계연도개시일이 배당기산일이 되지만 회계연도 중간에 발행되는 신주의 경우는 주금납입일이배당 기산일이 된다.
영업년도 중에 유상증자에 의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대개 영업년도 개시일로부터배당기산일까지의 경과기간의 기대배당액이 주가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주금납입일을배당기산일로하여 되지만 무상증자에 의한 신주는 이미 회사에 유보되어 있는 보유자본과목대체에 불과하므로 구주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사업년도 개시일부터 기산하는 것이일반적이다.
배당기준일(record date) 배당을 받기 위해 주식을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어야 하는 마지막 거래일을 말한다.
배당락(配當落, ex-dividend) 주식의 소유로부터 이미 발표된 배당에 대한 청구권이 분리되는 것으로 새로운 주주는 이 배당에 대해서는 권리를 갖지 못한다. 배당청구권의 소유가 확정됨에 따라 주가는 배당청구권의 가치만큼 하락하게 된다. ⇔ 배당부
배당기준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주식회사는 매사업년도가종료된 후에 결산을 확정하고 이익잉여금을 처분하기 위하여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는데,이때 주주총회에서의 주주권을 확정하기 위하여 권리확정일을 매 사업년도 최종일로하며, 그다음 날부터 주주총회종료일따지 주주명부를 폐쇄하고 주권의 명의개서를 금지하게된다.
따라서 사업년도가 끝난 날의 다음날 이후에 주권을 매수하는 자는 전사업년도의 결산에 의한이익배당을 받을 권리가 소멸되므로, 거래소는 이날부터 앙해 주권에 대하여 배당락을 취함으로써 주가가 합리적으로 형성되도록 관리한다.
현재 거래소에서의 매매거래는 보통거래로서 3일째 결제되므로 실제로는 사업년도 종료일 전일매매분부터 배당락조치를 취하게된다. 즉, 사업년도 종료일 이틀 전까지 배당부가된다.(단,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연말납회 후 휴장으로 인하여 다음 연도의 연초 발회일에배당락이 된다).파생상품파생상품이란 국공채, 통화, 주식 등 기초자산의 가격이나 자산가치 지수의변동에 의해 그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계약을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리스크회피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선물, 옵션, 스왑 등을 의미한다.
한편 파생상품시장의 참가자는 최종 수요자와 딜러로 구분되나 한 가관이 두 가지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도 한다. 최종 수요자는 금융 기관, 기업, 기관투자자,정부기관, 국제기구 등이며 딜러는 대형 은행, 대형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이다.
파생상품은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시장참가자들에게 거래시장가격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시마다 보유 또는 보유예정 자산의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자금흐름에 탄력성을 제고시키며 일부 증거금으로 계약자산의 전부를 보유한 것과 같은효과를 얻을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시장참가자들에게 위험전가의용이, 저렴한 비용 등으로 금융시장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소수의 전문 딜러들에 의해서 거래가 집중화되고 파산이 되어 금융제도의안정성을 저해시키고 단기성 투기자금이 범세계적으로 유출입이 가속화되어 각국의통화정책에 대한 유효성이 저하되며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를 피래 장외거래 등 각종규제 회피수단을 동원하고 있다는 역기능도 안고 있다.
1990년대 들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파생상품의 거래가 획기적으로 늘어 1995년 말계약잔액이 40조 달러에 달하며 매일 평균 8,000억 달러정도 거래되고 있으며 매년30% 이상 증가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즉 1994년 이후 피해규모가 10억 달러 이상 되는 사건만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영국 베어링의 주가지수 선물거래 실패로 인한 은행파산 등 5건이나 된다.
더욱이 이런 대규모의 파생상품의 거래실패는 금융기관간에 교차되는 채무관계가매우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파생상품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대형 증권회사나 은행의 도산은 연쇄적인 채무불이행이라는 도미노 효과를 야기할 수있다.베어 마켓일반적으로 증권의 가격이 하락하고 있거나 또는 하락이 예상되는 시장을 말하는 것으로그 반대의 경우를 불마켓(bull(bullish) market)이라고 한다.
배당락일(ex-dividend date) 배당락이 적용되는 첫 거래일
배당률(percentage dividend yield) ☞ 배당수익률
배당무관련이론(irrelevant theory of dividend) 주가와 배당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으로 M. Miller와 F. Modigliani가 주장하였다. 주가의 결정에 배당이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배당설에 배치되는 이론이다.
배당부(配當附, cum dividend) 어떤 주식에 대해 이미 공표된 배당에 대한 청구권이 첨부된 상태로 배당청구권의 소유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주식의 매매와 함께 권리도 이전된다. ⇔ 배당락
배당성향(配當性向) 보통주 배당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배당지급률(dividend payout ratio)이라고도 하며 배당지급능력, 증자, 기대배당액 및 그 안정성 등을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배당성행 (propensity to dividend) 배당성행은 당기순이익에 대한 현금배당액의 비율로 배당지급률이라고도 한다. 이 비율은 배당금지급비율이 크고, 낮으면 낮을수록 배당비율이 작다. 대개 회사들의 당기순이익은 매년 변동폭이큰 반면 주당배댱률은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회사의 당기순이익이 큰 경우, 즉 호황일 경우에는 배당성향이 낮아지고 불황인 경우에는배당성향이 높아지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또한 회사 업종이 성장업종인 경우 회사는재투자를위해 사내 유보를 강화하여 배당성향이 낮아지고 성숙업종인 경우에는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주당배당금을 주식의 시장가격으로 나눈 비율로 배당률이라고도 한다.
이번 결산기도 전기와 같이 동일한 배당률로 배당한다고 가정하여 현재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하여결산기 말까지 보유할 때 몇 %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측정하는 지표로서 주식시장의 전체의 수익성 정도를 파악하거나 종목간 주가수준을 비교하는 데 이용된다.
배당수익률은 개별종목의 1주당 배당금을 매일의 종가로 나누어 산출하는 종목별 배당수익률로주식시장 전체의 배당수익률 수준을 표시하는 평균배당수익률로 나눌 수 있는데 평균배당수익률은다시 단순평균배당수익률과 가중평균배당수익률로 구분된다
배당투자 매년 연말이 되면 기관투자가를 중심으로 배당투자의 붐이 형성된다.기관투자가들은 배당금에 대해서 범인세를 과세하지 않기 때문에 대출이나 기타자산운용보다 오히려 주식투자에서 얻은 배당수익이 영업수익에 크게 기여한 데그 원인이 있다고 한다.
상장기업들은 매년 그해 영업을 결산해 영업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정부는 1980년 초 상장기업의 재무구조개선을 위해서 배당률을 공금리수준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배당금이 액면금액기준으로 공금리수준의 소액에 불과하여메리트가 크게 감소된 상황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배당성향제도가 정착되어 회사의 영업이익에 따라 일정한 수준의배당을 하고 있으므로 영업실적이 혼전되고 있는 종목에 배당투자를 하는 투자 패턴이일어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 나라는 배당률이 대체로 액면가액의 공금리수준에서 결정되므로 배당수익률이 높은 주식은 저가권에 있는 주식이어야 한다.매년 연말이 되면 배당투자붐이 형성되면서 저가의 대형주들이 부상하는 것은 이와 같은고배당 저가주의 매력 때문이다.
그러나 외국인의 투자가 증가되고 개방화, 자율화됨에 따라 정부는 시가발행제도,배당성향제도 등을 도입하여 가치 중심의 주가형성을 통하여 증권시장을 안정시킨다는방침을 세우고 있다.배당투자유망주주주의 입장에서 보면 매년 결산을 통해 지급되는 기업의 배당이 유일한 자본제공의보상형태로서 이자의 개념이 된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주주들에게 배당으로지급하는 것보다 재투자를 하여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95년 말 현재 배당수익률 1.2%로 대단히 낮은 수준이어서배당은 주식투자의 주된 요인이 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배당보다는 투자수익은매매차익에 중점을 두게 된다.
1996년 2월, 당국은 배당공시제도를 개편하여 현재 액면가를 중심으로 하는 배당률,배당수익률을 공시하던 것을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등 시가 기준으로 전환하여공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배당성향 지도비율을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시가배당을 권유하여 나가도록하였다. 일반적으로 배당투자 유망종목들은 저가대형주로서 배당투자수익률이 높은종목이 매년 연말 기과투자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매년 주식배당을 실시하는 기업들은 무상증자의 효과를 가져와 배당투자 수익을높이고 있다. 1996년 현재 7년 이상 주식배당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동양화학,한미약품, 동일고무벨트, 대한중석, 봉신중기, 새한정기, 오리온 전기, 맥슨전자, 신성,대우통신, 극동건설, 신한 등이 있다.베어마켓일반적으로 증권의 가격이 하락하고 있거나 또는 하락이 예상되는 시장을 말하는것으로 그 반대의 경우를 불 마켓(bull(bullish) market)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베어라 함은 하락하는 시장상태를 이용하여 단기매매로 이익을 추구하고자하는 딜러 등을 지칭하고 불이라 함은 그의 반대를 지칭한다.
한편 내로 마켓(narrow(thin) market)은 증권의 거래량이 적거나 활발하지 않은 시장,브로드 마켓(broad market)은 그 반대로 거래량이 많고 활발한 시장을 지칭한다.
bad bank 금융기관의 부실자산을 상각하기 위해 부실채권들을 한 데 모아 집중관리하는 은행
bad fund 투자신탁에서 모든 펀드의 부실채권들을 매입하여 집중관리하기 위해 각 펀드의 자산으로부터 일정한 부분을 떼어 내 별도로 설정되는 펀드
백기사(white knight) 적대적 매수의 대상이 된 기업이 제3의 우호적 매수자를 찾아 매수를 제의하고 매수 결정에 필요한 정보 등 편의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매수대상이 된 기업의 경영자에 대해 제3의 우호적 매수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 노멀백워데이. 역조시장(inverted or abnormal market)에서 형성된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차이를 말한다.그러나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높은 이런 백워데이션tus 현상은 수요와 공급이 다시균형을찾게 되면 곧 베이시스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백지위임장(proxy) 위임장의 일부를 백지(공백)로 비워둔 것 ☞ 위임장
백지위임장투쟁(proxy fight) ☞ 위임장투쟁
버터플라이스프레드(butterfly spread) 기초자산과 만기일은 같지만 행사가격이 다른 3가지의 옵션을 이용하는 옵션거래기법이다. 행사가격이 가장 높은 옵션과 가장 낮은 옵션을 각각 1단위씩 매수하고 행사가격이 중간인 옵션을 2단위 발행하여 구성한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중간 행사가격 근처에 있을 때만 이익이 발생하므로 기초자산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 이용할 수 있다.
벌쳐펀드(vulture fund) 저평가된 부동산을 싼 가격으로 매입하기 위해 운용되는 투자기금.
저평가된 유가증권이나 부동산을 싼 가격으로 매입하기 위해 운용하는 투자기금으로 죽은 동물만을 잡아먹는 독수리과에 속하는 벌처의 이름을 딴 것이다.
벌처 펀드는 상대적으로 위험이 높지만 잠재적으로 큰 이익을 제공한다.이 기금의 성과는 수익성이 있는 투자안으로 바뀔 수 있는 저평가된 부동산을가려내고 매입하는 기금관리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법정자본금(legal capital) 법적으로 기업 내에 남아 있어야 하는 자본금으로 배당 등 다른 용도를 위해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납입자본금과 같은 개념으로 쓰인다.
베어(bear) 증권투자에서 특정종목의 증권이나 전체시장이 지속적인 하락 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투자자 ⇔ 불(bull)
베어 스프레드 (bear spread) 선물·옵션거래시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서로 상반되는 포지션을동시에 취함으로써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나아가 시세차익을 얻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베어 스프레드와는 반대로 시세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취하는 전략을 불 스프레드(bull spread)라고 한다.
베이시스(basis) ① 선물거래에 있어서 특정상품의 현물가격과 선물가격과의 차이로 보통 결제월이 가장 가까운 선물의 가격과 현물의 차이를 가리킨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이론적인 베이시스는 영(zero)보다 크다. ② 동일상품 가격의 지역간 차이 또는 특정 거래소간 차이
베이시스거래(basis trading) 베이시스의 변동을 이용하여 단기적 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현물을 매수(또는 매도)하고 동시에 동일상품에 대한 선물을 매도(또는 매수)하는 거래이다.
베이시스위험(basis risk) 베이시스가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움직일 가능성이다. 베이시스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하여 저평가된 현물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선물을 매도했는데, 오히려 베이시스가 확대된다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차인 베이시스가 변동하는 위험을 말한다.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은 기본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거의 일정한 비율을 움직이며 거의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순보관비용의 변동이나 미래의 이자율 수준에 대한 예상치 못한 정보 등이 유입될 경우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차이는 상이한 변화패턴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베이시스 위험의 존재는 계약청산시점에서의 베이스가 예약체결시점에서의 베이시스와 다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헷지결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파생금융상품을 이용한 헷지거래시 불완전한 헷지거래를 할 경우 헷지거래를 할경우 헷지대상의 가격변동과 헷지거래의 가격변동 차이로 인해 시장리스크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완전한헷지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을 베이시스 위험이라고도 한다.
베타값(beta index) 베타 값은 시장 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률에 대한 당해 증권의 초과수익률의 감응도를나타낸다.따라서 시장이 상승세에 있을 때 베타 값이 1인 종목보다 베타 값이 2인 종목의 상승률이 2배 정도높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반대로 하락할 때는 2배로 하락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베타 값이 1보다 작은 종목을 방어적인 증권이라고 하고 그보다 높은 종목들을선호하고 하락 세일 때는 방어적인 종목을 선호하여 위험부담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한다.
베타계수(beta coefficient) 개별종목의 수익률과 시장전체의 수익률의 공분산을 시장전체의 위험으로 나눈 수치로서 시장전체의 변동에 대한 개별종목 수익률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벤쳐캐피탈(venture capital) ☞ 모험자본
벤취마킹(benchmarking) 우량기업이나 선도기업 등의 모범적인 경영사례를 참고 또는 모방하여 자사의 경영을 개선하는 데 활용하는 기법
변동금리채권(FRN, Floating Rate Note) 확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급금리는 주로 3개월물 LIBOR의 월중 평균금리로 한다.
변동성(volatility) 일정기간동안 주식, 채권 또는 상품의 가격이 변동하는 정도로 가격변동성이라고도 한다.
변동환율제도(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시장기능에 따라 환율이 변동하도록 하는 제도로 외환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환율이 결정된다. ⇔ 고정환율제도
보유기간수익률(holding period rate of return) 채권 등에 투자하여 매도하기까지 보유하는 기간동안의 수익률로 보유기간동안의 모든 이익과 자본이득을 고려한 수익률이다.
보유비용(cost of carry) 선물거래에서 선물계약 매도자가 인도할 현물을 만기까지 보유함에 따라 부담하는 비용을 말한다. 금융선물에서는 금융비용만을 의미하지만 상품선물에서는 창고비용과 보험료 등이 포함된다.
보증금(margin) 금융선물거래시 계약이 성립되면 거래자들은 계약불이행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매일 손실을 보전할수 있는 금액을 예탁해야 하는바, 이를 보증금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청산회사가청산회원에게요구하는 것이나 청산회원도 각각의 일반고객에게 자기가 예탁한 금액 이상의 보증금을 요구한다.
보증금에는 거래를 개시할 때 예탁하는 거래개시보증금(initial margin)과 선물계약잔고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거래유지보증금(maintenamce margin)이 있다. 선물가격 변동으로 손실이발생하여최저거래 유지보증금 이하로 하락할 경우에는 거래개시 보증금 수준으로 회복시켜야계속 거래를할 수 있다.
보증금의 정도는 투자자의 신용, 거래상태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거래단위에 비해적게 설정되어있어 일반대중들의 시장참가가 극히 용이하다.자본자본이란 소유주 지분 또는 주주지분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잔여지분이다. 기업회계기준상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자본의 본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지분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소유주의 지분을 가리킨다. 자본은 투자자 지분으로서채권자 지분과 함께 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소유주 지분의 주주지분이라고도 하는데소유주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것이다.
2)잔여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액이다. 자본은 잔여지분으로서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에서 기업이 당연히 변제해야 할 부채를 차감한 잔액이다.이 잔여지분만이 주주가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3)지분이론 중 자본주이론에 의하여 정의된 것이다.자본은 자본주이론의 회계등식인 자산 - 부채 = 자본'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으로 이정의에 의하면 자본은 자본주에 귀속한 순자산이다.자본주이론에서는 회계의주체가 자본주로 자본은 자본주의 순재산을 의미한다.
보증사채(guaranteed bond) 원리금의 상환에 대해 제3자의 지급보증을 받아 발행하는 사채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신용보증기금이나 은행이 보증을 맡는 경우가 많다. ⇔ 무보증사채
보통주(common stock) 배당이나 의결권 등 주주의 권리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주식
보호무역주의 국내산업의 보호와 육성을 위해 국가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수출을 통제하고 수입을 제한해야 한다는 사조(思潮)
복리(compound interest rate) 투자원금과 그 이자 및 이자에 대한 이자까지 고려한 이자율 또는 그렇게 계산된 이자나 이자계산방식 ⇔ 단리
복합기업(conglomerate) 비관련다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수합병을 통해 전혀 관련이 없는 기업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거대한 기업체로 2차대전 이후에 주로 미국에서 급속하게 확산된 기업결합 형태를 일컫는다.
본원적 증권(primitive security) 자금의 수요자(차입자)가 공급자(대출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권으로 직접증권이라고도 한다. 파생적 증권의 상대개념으로서 채권자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부채증권(국채, 금융채, 회사채, CP 등)과 출자자로서의 지분을 나타내는 주식(보통주, 우선주)으로 대별된다. ⇔ 파생증권
부가가치(value added)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새로 창출된 가치로서 총산출로부터 중간소비와 자본재의 감가상각분을 차감한 금액
부당권유행위금지 <증권거래법> 제52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의 제 2항에 의하면 중권회사의 임직원들은유가증권매매와 관련하여 특정한 유가증권의 가격상승 혹은 하락에 대한 단정적인 판단을제공함으로써 매매를 권유하는 행위, 유가증권매매와 관련으로 고객에게 수수료할인,간접적인 재산상의 이익을 제공하는 행위, 기타 정보제공, 중개, 주신 또는 대리행위, 고객의 위법거래 은폐 등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있다.
이는 중권업의 대외신용도를 높이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규정이다.
부당행위금지 <증권거래법>에서는 투자자 보호, 증권거래의 공정성 확보 및 증권회사의 신용유지 등을 위하여증권시장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증권회사의 임직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부당행위를금지시키고 있다.
유가증권 매매거래에 있어서 고객에 대하여 당해 거래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전부 또는일부를 부담할 것을 약속하고 권유하는 행위, 유가증권의 발행업무와 관련하여 경쟁자를 재산상의이익을 제공하거나 자기의 거래상의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고객의 사업활동을 제한하는 행위,유가증권의발행 또는 매매, 기타 거래와 관련하여 투자자의 보호 또는 거래의 공정을 저해하거나 증권업의신용을 추락시키는 행위 등으로 되어 있다.
부동주 비율 (floating stock ratio) 증권시장에서 안정된 투자층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아니라 시장에서 빈번히유통되고 있는 주식을 말한다. 부동주가 많은 종목은 주가변동이 적은 반면부동주가 적은 경우는 적은 매매량만으로 가격이 크게 움직인다.
어떤 종목에 대하여 부동주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를 엄밀하게 계산할 수 있는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대체로 대주주 지분율이 높고 기관투자가들이 많이보유하고 있는 종목들은 부동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대령주들은 부동주가 많고 자본금규모가 적은 소형주들은 부동주가 적게마련이다. M&A의 대상기업을 선정하는 데 유용한 분석지표로 대주주 지분을 제외한부동주 비율을 제시한다.
경영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대페로 50% 이상의 주식을 매집함으로써 완전한 지배가가능하나 대상기업의 양해없이 50% 이상의 주식을 매집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일본에서는 20%에서 30%이상이면 경영권의 장악이 가능하나 우리 나라는 아직도회사형편에 따라 다르다. 향후 대주주 지분율은 점차 하향될 것으로 보여진다.
부채비율(debt ratio) 기업의 총부채를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총자산 중 어느 정도가 부채에 의해 조달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보통 200%를 적정선으로 본다.
자본구성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기업의 소유하고 있는재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으나 업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채권자의 입장에서는 위험요인 때문에 부채비율이 가급적 낮게 되기를 바라지만기업가의 입장에서는 자본이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가능한 타인자본, 즉 부채를더욱 많이 이용하려고 하기 때문에(레버리지 효과) 채권자와 경영자의 이해가 상반될수 있는 일종의 상대적 비율이다.
따라서 자본구성의 분석에 있어서는 부채비율 이외의 유동부채비율과 자기자본구성비율(자기자본/총자본×100) 등을 아울러 관찰해야 한다.
유동부채비율 = 유동부채/자기자본 ×100
자기자본 구성비율 = 자기자본/총자본 ×100
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자기자본(자본총계) ×100(%)
한편 <증권거래법>에 의하면 증권회사의 법정 부채액은 경영상의 건전성 유지를위하여 순재산액의 5배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순재산액은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공제한 액으로 한다.
증권회사 법정부채비율 = 부채액/순자산액 =부채총계 - 보관유가증권 - 증권거래준비금 / 자기자본+증권거래준비금 × 100(%)
분리신설(spin-offs) 기업의 사업부 또는 자회사를 독립된 기업으로 완전히 분리하는 것
분리정리(separation theorem) ① 확실성 상황 하에서 완전자본시장을 가정하면 생산(투자)의 결정은 소비결정과는 상관없이 부(富)의 극대화라는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으로 I. Fischer가 주장하였다. ② 포트폴리오 선택에서 모든 투자자들이 동질적인 기대를 한다면 개인의 주관적 선호와는 상관없이 시장포트폴리오만을 선택하게 되므로 대출과 차입을 통해 최적포트폴리오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으로 효율적 투자선과 개인의 무차별곡선의 접점을 찾는 것이다.
분리채(分離債, stripped bond) 채권의 원금증서와 쿠폰이 분리되어 거래되는 채권
분산(分散, variance) 표준편차를 제곱한 값들의 평균으로 표본값들이 평균으로부터 흩어져 있는 정도 즉, 산포도를 측정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분산투자 (diversifed investment) 1. 증권투자시 기대투자수익을 올리는 데 있어서 그에 따른 투자위험을 적게 하기 위하여 여러 종목의증권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서 개개의 위험을 서로 상쇄·완화하도록 하는 투자방법을 말하다.
분산투자에는 네 가자 경우가 있는데, 첫 번째는 종류별 분산으로 주식, 채권, 전환사채 등 여러종류의 증권에 분산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지역적 분산으로 각국의 경기변동이 반드시 획일적인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국 증권에 분산 투자하는 것으로 경기변동의 영향을 완화하는방법이다.
세 번째로는 업종별 분산이 잇는데 여러 업종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투자성과를높이고자 하는것이며,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기업별 분산은 소수의 기업에 집중투자하지 않고 기업별로 분산투자하는 방법이다.
2.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라는 투자격언과 같이 초보자에게는 분산투자의 유효성을 설명하고있다. 그러나 자금규모가 크고 공익성을 강조하는 기관투자가들에게는 포트폴리오라고 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증권에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렇다면 분산투자방식이유리한가, 집중투자방식이 유리한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투자자의 개성이나 경험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산투자보다는 실제로 집중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다.분산투자는 자금을 몇 개 종목으로 분할하여 보유함으로써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어느 정도 위험을분산할 수 있지만 주가가 상승할 때는 반대로 투자수익이 그만큼 감소되게 마련이다.
자금을 특정한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관리가 간편하고 시장상황에 즉가적인 의사결정이 용이하여공격적인 투자관리방식으로 적합하다.주식시장에서도 주가가 하락하면 모든 종목들이하락하기 때문에반드시 분산투자가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
대체로 투자종목의 선정이나 주식시장의 전망이 불투명할 때 분산투자를 하게 되나집중투자보다 약간의위험이 감소될 뿐이다. 따라서 집중투자를 할 것이냐 분산투자를 할 것이냐 하는 문제는 투자자들의 개성,시장전망에 자신감, 투자종목에 대한 확신 등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대처하여 나갈 수밖에 없다.자산가치 우량주주식투자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자산가치에 기초를 두고 결정하게되지만 성장성이나 수익성은 동적인 가치을 표시하는데 반해 자산가치는 정적인가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주식시장의 주가에 반영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그런데 1996년 4월,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국내 기업회계기준이 전환됨에 따라 자산의평가법도 전환하게 되어 저평가된 기업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즉 투자유가증권을 저가법에서 시가법으로 전환되고 비상장주식의 경우에 원가법을적용하도록 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의 작성이 의무화됨에 따라 보유주식에 대한지분법에 의하여 당기순익이 반영하도록 되어 있어 의외로 저평가된 종목들이 나타나게된 것이다.또한 부동산 과대보유 주식들은 기업의 부동산을 매입하기보다다는 관련기업을 M & A하여이를 활용할 수 있다는 계산으로 M & A의 주된 대상종목으로 주목받게 되었던 것이다.따라서 우량주로서 자산가치 우량주들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IMF 구제금융 이후 디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부동산이 장기침체국면에 진입하고있는 현금흐름이 양호하지 않은 자산가치 우량주는 오히려 파산되는 경우가 속출하게되었다.따라서 자산가치 우량주는 인기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결국 경기침체 국면에서도투자패턴은 가치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고 태광산업, 대한 방직, 롯데칠성, 영풍, 농심 등자산가치우량주는 각광을 받고 있다.블랙숄즈 모형블랙과 숄즈가 개발하여 1973년 시카고 대학 연구논문집에서 발표한 옵션 이론이다.주식 옵션을예로 들어 원래 보유자산의 현재가격, 가격변동성, 옵션의 권리행사 가격, 만기까지의 기간, 무위험자산의 금리 등 입수하기 쉬운 다섯 가지 종류의 데이터로부터 옵션 이론을 도출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체계적인 옵션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이 모형은 금융계에서 화제를불러일으켜거래의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현재도 옵션의 대표적인 평가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모형은 특정 기일에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잇는 유럽식 옵션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주식의 배당을고려하지 않는 등 현실의 거래와는 적합성이 맞지 않는 면도 있다. 또 금리 옵션에서는 이 모형과실제 가격과의 갭이 크다. 이 때문에 보다 현실에 적합한 옵션 이론을 모색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블랙숄즈 모형의 금리 옵션판 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으로 존할 토론토 대학 교수들이개발한 활-화이트모형이 있다. 이 외에 통화 옵션 평가 모델로서는 가멘, 콜하겐 모형 등이 있다.
분식(粉飾, window dressing) 재무제표나 포트폴리오의 내용을 조정하여 순이익을 과대평가하도록 하는 행위로 과소평가를 위한 경우를 포함하기도 한다. ⇔ 역분식
분식결산 회사의 영업실적을 좋게 보이기 위해 자산평가방식이나 수지상황을 속여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회사의 영업실적을나쁘게 보이기 위해 자산이나 수지상황을 가곡해서 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를작성하는 역분식결산도 넓은 의미에 포함된다.
분식결산은 불황기에 회사의 신용도를 높여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주주,하도급업체, 채권자 등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 역분식결산은 회사가 과대한 이익을계산하게 되면 임금인상, 세금납부 등 불이익을 받게 되어 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경우가 많다.
12월 결산법인의 반기실적이 발표되면서 감가상각방식의 전환, 자산매각익 등으로특별이익을 낸 기업에 대해서는 결산내용을 다시 한 번 살펴 분석 여부를 판단해야한다.
불(bull) 증권투자에서 특정종목이나 전체시장이 상승 국면에 있다는 판단 하에 행동하는 투자자 ⇔ 베어
불공정거래 (unfair transaction) 증권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란 정상적인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가격이 결정되지못하고 인위적으로 부당하고 불공정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증권시장에서의 매매거래는 시장의 특수성이나 매매행위의 전문성 등으로 인해비정상적인 방법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런 매매는 금지되어있다.
그 유형을 살펴보면 특정 유가증권을 같은 시기에 같은 가격으로 자기가 매도하고특정인과 사전에 짜고 매수하는 행위를 하도록 하는 통정매매, 실질적인 매매를하지 않고 외형적으로 거래가 형성된 것같이 가장하여 매매행위를 하는 가장매매가있다.
그리고 단독 또는 타인과 공모하여 유가증권의 매매거래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 듯이타인으로 하여금 오인하게 하거나 그 시세를 변동시킬 목적으로 매매를 하는 행위,특정 유가증권의 시세를 일정선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주가를 고정시키는행위, 특정 유가증권의 시세가 자기 또는 타인의 시장조작에 의해 변동한다는 말을유포하여 제 3자로 하여금 매매행위를 하도록 유인하거나 고의로 허위사실이나 풍문을퍼뜨려 제 3자에게 그릇된 투자판단을 하게 하는 행위 등이 있다.
불독본드(bulldog bond) 외국채의 하나로 영국의 런던 증권시장에서 외국인(비영국인)에 의해 발행되는 파운드 표시 채권을 지칭하는데, 미국의 양키본드나 일본의 사무라이본드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불완전헤지(imperfect hedge) 헤지구성에 있어서 헤지비율이 1에 미달하는 경우를 말함 ⇔ 완전헤지
불포화만족(不飽和滿足, nonsatiation) 모든 투자자는 결코 현재 수준의 부(富에) 대해 만족하지 않음을 뜻한다. 따라서 모든 투자자는 언제나 보다 큰 기말부(期末富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뷸릿포트폴리오(bullet portfolio) 채권면역을 위해 구성된 채권포트폴리오 중 현금흐름이 만기일 주변에 집중되어 있어서 위험이 낮은 포트폴리오
브래디채권 외환부족을 겪고 있는 나라가 미국정부의 지급보증을 받아 발행하는 채권으로 브라질 등 남미의 외환위기 당시 미국 재무장관의 이름을 따서 생긴 말이다.
브레튼우즈체제(Bretton Woods system) 1947년 7월 미국의 브레튼우즈에서 국제간 무역의 확대, 외환의 안정 및 국제수지의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체결된 국제통화체제를 말한다. 동 체제는 1960년대 이후 계속된 국제유동성 딜레마와 기축통화인 달러화의 계속적인 신인도 하락 등으로 붕괴되기 시작하여 1971년 8월에 미국이 달러화의 금태환 정지를 선언함으로써 와해되었다.
브로커(broker) 자산의 거래에 있어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에 개입하여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개인이나 기업 ⇔ 딜러
브로커즈론(broker's loan) 증권매매에서 브로커가 주로 은행으로부터 차입한 자금으로 고객의 신용매수, 인수기관의 신주인수 및 스페셜리스트의 증권재고 확보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브릿지론(bridge loan) ① 장기차관 도입시 자금의 소요시점과 유입시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단기차입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조달되는 자금을 말한다. ② 적대적 기업인수에서 인수자금의 일부를 증권회사가 단기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으로 중기 또는 장기 자금조달에 의한 상환을 전제로 한다.
브이.알 (VR(Volume Ratio))
1.개념
OBV지표와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하는 거래량 지표로서 현재의 시장상황이 과열인지 아니면침체인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하다. OBV는 기준일을 어느 날로 정하느냐에 따라 수치에 차이가 발생하며 개개의 국면을 분석하기에는 용이하더라도 절대수치 자체로서는 시세를판단하거나 과거와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누적차수가 아닌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상승일의 거래량을 하락일의 거래량과 비교함으로써 시세의 강약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VR이다.
2. 작성 방법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상승일의 거래량 합계를 주가하락일의 거래량 합계로 나눈 것인데 여기서일정기간은 보통 1개월 (25)일로 계산한다. 계산방법은 미국식과 일본식 두가지가 있으나 통상미국식 VR의 이용도가 높으므로 여기에서는 미국식 VR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미국식 VR = ((주가상승일의 거래량 합계 + 보합일의 거래량 합계) / 2) / ((주가하락일의 거래량 합계 + 보합일의 거래량 합계 )/2) * 100
2)일본식 VR = 주가상승일의 거래량 합계 - ((주가하락일의 거래량 합계 + 보합일의거래량 합계) / 거래량 합계 ) * 100
3. 적용
방법/시세 | 과열 | 강세 | 보통 | 약세 | 바닥 |
미국식 | 450% | 300% | 150% | 100% | 75% |
일본식 | 85% | 75% | 50% | 25% | 15% |
VR이 100%라 함은 일정기간 동안 주가상승시의 거래량이 주가하락시의 거래량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날의 거래량이 하락하는 날의 거래량에 비해 다소 많기때문에 평상시의VR은 150% 정도를 나타내나, 강세장에서는 주가상승시의 거래량이 하락시의 거래량보다 더욱 많아3배 이상을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경험적으로 볼 때 450% 이상이면 과열과 판단, 매도에 나설 수 있으며 75% 이하면 바닥권으로 보고매수준비에 임할 수 있다.
블랙먼데이(Black Monday) 다우존스 공업주 평균이 하루에 508달러가 폭락한(전일대비 22.6% 하락) 1987년 10월 19일을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폭락사태가 일어나게 된 원인은 연방예산 및 무역 적자, 세제개혁안 및 과도하게 오른 주가수준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과도한 프로그램매매가 큰 원인이 되었다.
블랙튜즈데이(Black Tuesday) NYSE의 대폭락 기간 동안 그 정도가 가장 심했던 1929년 10월 29일로 주가의 대폭락과 함께 1,600만주 이상의 물량이 거래되었다.
블랙-숄즈 옵션모형(Black and Scholes option pricing model) 옵션의 가격결정을 위해 F. Black 과 M. Scholes가 제시한 모형으로 기초주식을 매수하고 유럽형 콜옵션을 발행하여 무위험헤지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균형모형을 도출하였다. 모든 주식은 완전히 분할가능하고 연속적으로 거래되며 공매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자본시장의 완전성과, 주가변동이 Log-normal 분포 및 Wiener Process를 따르며, 옵션의 잔여기간동안 배당이 없으며, 무위험수익률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블랙-숄즈의 옵션모형에 따르면 옵션의 가격은 기초자산의 가격, 행사가격, 무위험수익률, 옵션의 만기일까지의 기간 및 기초자산수익률의 분산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블루칩(blue chip)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배당을 지급해온 우량기업의 주식으로 일반적으로 꾸준한 성장이 가능하고 경영위험이 작은 것으로 인식된다.
블루칩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상당기간 동안 안정적인 이익창출과 배당지급을 실행해 온 기업의 주식을 일컫는 말로서 우량주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주가수준에 따라 고가우량주 중견우량주또는 품귀우량주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량주는 통일된 기준이나 개념이 정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나 일반적으로 수익과 재무내용이 좋고업계에서 유력한 직위를 갖고 있는 회사의 주식을 말한다. 통상 우량주는 경기변동에강하고 고수익 및 고배당을 유지하기 때문에 신용도가 매우 높으며 지명도도 높은 것이 현실이다.
블루칩의 기원은 트럼프의 포커에서 쓰이는 세 종류(흰색, 빨간색, 청색)의 칩 가운데가장 높은 것이블루칩이라는 대서 유래되었다. 대표적인 블루칩으로는 미국의 경우 AT&T, GM사 주식등을 꼽고 있다.재무제표재무제표는 기업의 이해관계자에 대하여 그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정보를제공하기 위하여 기업의 거래를 측정·기록분류·요약·작성하는 회계보고서이다.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표시하는 대차대조표, 영업활동의 성과를표시하는 손익계산서, 경영활동의 결과를 분배하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그리고현금의 조달과 용을 표시하는 현금흐름표가 있다.
기업은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지만 사회적 존재로서의 책임이 강조되는 이유는불특정한 이해관계자에게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즉 일반투자자들은 기업의 배당금지급능력을 평가하여 보유주식을 처분할 것인가 구입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고금융기관은 원리금 상환능력을 판단하여 대출규모 및 대출조건을 결정하게 된다.
정부에서는 기업의 재무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세무재원으로 삼고 있으며 종업원들은임금, 고용조건, 복지수준 등 근로조건의 협상대상으로 재무표를 활용하게 된다.
비공개기업화(going private) 이미 공개된 기업이 공개시장을 통해 기업매수의 대상이 될 위험을 피하기 위해 기업을 비공개화하는 것으로 LBO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비공모주식 유상증자에 의해서 신주를 발행하는 가운데 공모 이외의 방법을 일괄하여 비공모라고하는데 비공모에는 주주할당 증자, 제 3자 할당증자, 연고모집 등의 방식이 있다. 주주할당 증자는 일정일 현재로주주명부를 폐쇄(명의개서정지)하고 각 주주에 대하여 그 지주율에 비례하여 주식의인수권을 부여하고 주주를 대상으로 신주를 모집하는 것이다.
제3자의 할당증자는 특정 범위의 사람들(발행회사의 임원, 종업원, 거래처, 금융기관,모회사 등)에게일정수의 신주인수권을 부여하고 그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규발행 주식의 모집을 하는방법이다.
연고모집은 발행회사 자체가 특정 범위의 사람들(제3자 할당증자의 경우와 같음)을 대상으로 신규발행증권의 모집을 행하는 방법으로 주식의 경우에는 시기발행에 의한 것이 보통이다. 마지막으로 직접교섭발행이 있는데 이는 발행회사가 특정 소수인과 교섭하여 발행조건을 정해 놓고 계약이행으로써 증권발행하는 방법으로 여기에는 모집이 없다.장외 파생금융상품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쌍방간의 협정에 의해서 거래되는 파생상품을 말한다.주가지수와 채권선물이 전형적인 거래소 상장상품이라면 금리스왑과 선물금리계정은 대표적인 장외 파생상품이다.
이는 거래당사자의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자유롭게 약정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주문자 생산형이 특징이다. 파생상품거래 중 선물 등 거래소의 거래가 30%에도 못미치고 나머지는 장외 시장거래가 차지하고 있다.
단 장외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소 거래와는 달리 상대방의 여신 리스크 관리를빼놓을 수 없다. 거래소 거래에서는 거래소나 결제기구가 자금의 결제를 책임지므로거래 상대방의 신용 리스크는 문제되지 않지만 스왑 거래는 상대방이 있기 때문에상대방의 신용도에 따라 여신한도를 설정하는 등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일본 시장에서는 금리·외환관련 장외 파생금융상품 거래는 활발하지만 주식관련 장외파생금융상품은 인정되지 않고 있다. <증권거래법>은 거래소 바깥에서 손익의 차액을수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주가지구 선물, 주식 옵션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주식스왑에 대해서는 국내업체에 대해서만 거래를 제한하고 있다.
비과세소득(non-taxable income) 과세대상이지만 정책적, 공익적 및 과세기술적 이유로 과세하지 않는 소득으로 군복무중인 사병이 받는 급여, 공익신탁으로부터 발생한 소득 등이 있다.
비관세장벽(non-tariffs barrier)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관세 이외의 여러가지 수단을 동원하는 것으로 수입할당, 수입과징금, 수입담보금 및 수입검사 강화 등이 있다. ⇔ 관세장벽
비누적적 우선주(non-cummulating preferred stock) 배당을 지급하기에 이익이 충분하지 못한 등의 이유로 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라도 미지급배당이 다음 결산기로 이월되지 않는 우선주 ⇔ 누적적우선주
비대칭정보(asymmetric information) 특정한 시장참가자가 다른 시장참가자들에 대해 배타적으로 가지는 정보 또는 다른 시장참가자들과 상이한 내용의 정보 ⇔ 대칭정보
비드(bid) 매수하고자 하는 의사 또는 그 주문 ⇔ 애스크
비례세 과세표준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의 세금이 부과되는 조세
BIS(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 ☞ 국제결제은행
비완성시장(incomplete market) 상태선호이론에서 상호독립적인 증권의 수가 미래에 발생가능한 상태의 수와 일치하지 않는 시장 ⇔ 완성시장 cf. 상태선호이론
비율스프레드(ratio spread) 옵션거래 기법의 하나로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이 작을 것으로 예상하고 투자하는 방법으로 비율콜스프레드와 비율풋스프레드가 있다.
비차익거래(非差益去來, non-arbitrage transaction) 선물과 현물을 연계하여 상반된 거래를 하는 차익거래와 달리 현물만을 거래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매매 ⇔ 차익거래
비체계적 위험 (unsystematic or residual risk)
증권시장 전반의 움직임에 관계 없이 특정 개별주식에 한정된 위험으로 잔차위험이라고도 한다.
이는 시장수익률의 변동에 기인하지 않는 것으로 증권시장 전체의 변동과 관계 없는기업고유의요인 - 예컨대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이루어진 매출액변동, 조업상태, 관리능력, 노사문제, 특허이용, 광고캠페인, 소비자의 반응, 소송, 대정부관계, 기업이미지 등에 기인하는 위험이다.
이 비체계적 위험은 여러 종류의 증권에 분산투자함으로써 저감 될 수 있기 때문에 분산가능위험이며, 특성선에 있어 시장수익률 RM의 변동에 의하여 설명되지 않는 잔차위험이다.
빅딜(big deal) 주요 사업에 대한 기업간의 맞교환을 의미한다. 정부는 5대 그룹에 대해서 과잉중복투자를 해소하고 경쟁력 없는 사업을 퇴출시킬 수 있도록 빅딜을 권유하고 있다.그러나 각 그룹이 빚보증이 얽혀 있고 빅딜 후 재벌들의 서열이 뒤바뀔 우려가 있으며각자 차지하고 싶은 첨단사업분야가 겹치기 때문에 빅딜이 성사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대기업의 과잉중복투자를 해소하고 경쟁력 없는 대기업의 퇴출을 빅딜을통하여 조속히 추진할 때 기업의 구조조정이 실효화될 수 있다고 권유하고 있는 입장이다.부당 내부거래기업들이 다른 회사에 대해 자금이나 부동산 등 자산, 인력을 무상으로 제공하거나현저하게 유리한 조건으로 부당하게 지원하는 행위를 말한다. 또 기업들이 가격,수량 등 거래조건을 상대방별로 다르게 취급, 거래하는 행위도 여기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같은 계열사에 돈을 빌려주면서 이자를 지나치게 싸게 받는다든지자기와 친분관계에 있는 사업자에게 물건을 팔면서 시가보다 싸게 받거나 외상기간을길게 잡아주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된다.
정부는 대기업 집단(재벌)에 속한 기업들이 부당 내부거래를 통해 공정한 경쟁질서를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정거래법을 통해 이를 규제하고 있다.
BPS(book value per share) ☞ 주당장부가치
빅맥지수(Big Mac index) 빅맥 햄버거의 도시별 가격을 지수화한 것으로 전세계 대도시의 대체적인 물가수준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빅뱅(Big Bang) 1986년 10월 금융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영국계 금융기관들의 대외경쟁력 제고 및 국제금융시장으로서의 기능 강화를 위하여 대처정부가 단행한 런던금융시장의 대폭적인 제도 개혁으로 증권산업의 재편성 및 증권거래제도의 혁신 등을 포함한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ㅇ"증권용어 (0) | 2009.03.17 |
---|---|
[스크랩] "ㅅ"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ㅁ"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ㄹ"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ㄷ"증권용어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