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콜(margin call) 선물거래에서 예수금이 줄어들어 증거금률이 일정비율(10%) 밑으로 떨어지면 추가증거금의 납입이 요구되는 것을 말한다.
마코위츠이론 (Markowitz theory)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의 창시자인 마코위츠에 의하여 전개된 증권투자, 포트폴리오관리에대한 이론을 말한다.
마코위츠의 현대 포트폴리오이론에 따르면 수많은 증권과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분산이 주어졌을 때 평균-분산기준에 의하여 효율적 경계선(efficient frontier)을 도출해 내고투자자의 수익률분포에 대한 선호에 따라 최적포트폴리오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투자의사결정접근법은 현대포트폴리오이론의 중요한 이론부분이 되고 있다.
마켓메이커(market maker) ☞ 시장조성자
마코위츠모형(Markowitz model)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선택에 있어서 규범이 되는 평균-분산기준에 따라 개인의 기대효용이 극대화되는 최적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과정을 제시한 모형으로 1952년 H. Markowitz에 의해 제안되었다. 분산-공분산모형이라고도 한다.
마킹투마켓(marking to market) ☞ 일일정산
만기보유전략 (buy and hold strategy) 만기보유전략은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함으로써 투자시 미리 수익울 확정짓는전략으로, 이자율의 변동 혹은 상승시 더욱 낮은 시장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다는점에서 기회손실이 발생하는 불이익이 있으나 미래에 대한 예측(투자위험의 요소 등)이 필요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만기수익률(YTM, yield to maturity)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만기까지의 기간동안 액면이자를 만기수익률로 재투자할 때 실현될 수 있는 수익률이다.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이라 하면 만기수익률을 말하며 발행수익률이나 유통수익률 모두 만기수익률로 표시된다.
만기일(maturity date, expiration date) 선물이나 옵션 등의 거래에 있어서의 최종거래일로 만기가 되면 결제와 인도 등의 청산이 이루어진다.
만기효과(maturity effect) 선물이나 옵션의 만기 직전에 포지션 청산을 위해 또는 포지션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이익을 확대하고 손실을 축소하기 위해 포지션을 변동시킴에 따라 선물이나 옵션 또는 기초자산의 가격과 거래량에 미치는 효과를 말한다.
매각리스백(sales and lease back) 기업이 소유하던 자산을 리스회사에 매각하고 리스계약을 맺어 사용하는 형태의 리스를 말한다. 직접금융에 의한 자본비용이 리스료보다 높을 경우에 주로 이용되는 수단이다.
매니지먼트바이아웃(MBO, management buyout) ☞ 경영자매수
매도역지정가주문(sell stop order) 주문시에 제시한 역지정가격 이하로 가격이 하락하면 지체없이 시장가격으로 매도할 것을 위탁하는 주문이다. 기존의 이익을 보호하거나 추가적인 손실을 축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매수역지정가주문
매도포지션(short position) ① 통화, 유가증권 및 상품 등에 대해 공매(short sales)한 상태 ② 매수한 수량보다 더 많이 매도하여 순부채가 존재하는 상태 ⇔ 매수포지션
매도헤지(short hedge) 현물을 보유하고 있거나 장차 보유할 예정인 경우, 현물의 가격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회피하고자 선물시장에서 동일한 수량만큼 선물계약을 매도하거나 손실을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선물옵션시장에서 풋옵션을 매수하는 것 ⇔ 매수헤지
매매보고서(trading report) 고객의 주문에 따라 유가증권의 매매 및 기타 거래가 성립되었을 때 증권회사가 고객에게지체없이 교부해야 하는 보고서로서 거래의 종류, 고객명, 약정일, 종목, 수량, 단가, 금액,수수료, 거래세액 등이 명기되어 있다.
매매수량단위 (trading unit) 거래소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유가증권의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매매를 신속·정확하게 하고 대량의 물량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매매수량단위는 주권은10주 이상, 수익증권은 10좌 이상, 채권은 액면 10만원 이상으로 한다.
매매수수료 (trading fee) 증권거래소가 거래소시장을 통한 유가증권의 매매거래에 대하여 거래원으로부터 징수하는수수료를 말한다. 매매수수료율은 거래소가 정하며 요율변경이 있을 때에는 재정경제원장관에게 신고하도록 되어 있다.
매매심리 (surveillance on the market) 증권거래소는 유통시장에서의 매매거래가 자유로운 수급과정을 통하여 공정한 가격이형성될 수있도록 주가를 감시하고 매매관계를 심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증권거래소의 매매과정에서 야기되는 이상거래 양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불공정거래를 사전에방지하기 위해서 주가를 감시하고 있다. 각 종목의 일정한 시점에서의 주가 및 거래량이 급변하는경우, 특정한 거래원에 의한 집중매매된 경우, 시장내 이상풍문이 나도는 경우 등을조사하여 이상현상을 발견하면 즉시 매매심리에 착수하게 된다.
매매심리란 주가를 감시하는 과정에서 이상거래, 가장매매, 통정매매, 시세조작, 내부자거래 등<증권거래법>상 위반 여부를 검토하고 사후적인 조치를 통하여 주가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증권거래소는 이상현상을 발견하면 해당 거래원에게 서면으로 자료를 요청하고 현장에서 직접사정을 청취하는 등 관련사항을 조사할 수 있다.
그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사항을 취할 수 있다. 등락률, 자전율, 거래량 회전율, 당일 배당수익률, 거래형성일 등을 통하여 매매거래 유의사항을 공시할 수 있으며 거래량이 과다하거나 급등한종목의 경우에는 감리대상 종목으로 지정하고 해당 종목에 대한 위탁증거금률, 증거금 예납, 가격폭제한, 매매거래정지 등 시장조치를 할 수 있고 해당 거래원에게 주의환기와 경고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스프레드 거래스프레드는 현물가격의 상승이나 하락보다는 통상 어느 시장에서의 동일한 선물거래대상 상품의 두 개의 선물, 즉 근월물 선물과 원월물 선물 등 각 결제월간의 가격차이를 말한다.
선물시장에서의 스프레드의 거래는 시장의 흐름과는 관계없이 거래대상 상품간의가격차이, 즉 스프레드를 이용하여 이득을 얻고자 하는 거래이다.거래대상 상품이 동일하지만 결제월이 다른 종목 또는 결제월은 같으나 거래대상상품이 다른 선물계약을 거래함으로써 이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이다.
이는 상품간의 스프레드, 시장간의 스프레드, 결제월간 스프레드 등 세 가지가 있는데상품간의 스프레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상품 중 결제일이 같은 선물을 동시에 매매하는것이며 시장간 스프레드는 상품은 같으나 서로 다른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우 시장간에가격차이가 발생할 때 동시에 사고파는 것이고 결제월산 스프레드는 결제월간의 시간차이가 발생할 경우 동시에 사고파는 거래를 말한다.시세조종행위시세조종행위란 자유로운 수급관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시세를 자의적으로 등락시키고그 등락된 시세가 타인에게 공정한 시세라고 오인시킴으로써 자기의 이득을 꾀하는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이런 시세조종행위가 방치되면 결국 선의의 투자자만 손해를 보게 되어 <증권거래법>에서는 시세조종행위를 금지시키고 있다. <증권거래법> 제 105조에서느 통정매매행위,가장매매행위, 유포행위, 허위사실 표시행위 등으로 시세를 조종하는 경우를 들고 있다.
통정매매란 자기가 매매하는 같은 시기에 그와 같은 가격으로 타인이 그 유가증권을매매할 것을 사전에 통정한 후 매도하고 다른 편에서는 매수하는 행위 또는 그런 매매거래를 위탁 또는 수탁행위를 말한다.
공모매매행위란 단독 또는 타인과 공모하여 유가증권의 매매거래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듯이 오인하게 하거나 그 시세를 변동시키는 매매거래행위 또는 위탁이나 수탁하는행위를 말한다.시장분석주식시장에 영향을 주거나 주가의 변동과 높은 상관관계에 있다고 생각되는시장내부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주가의 상대적 위치를 평가하고 장해의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주식분석에 있어서 실체요인의 분석이아닌 시장요인의 분석이라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1. 평균주가지수, 시가총액 등의 시계열분석,
2. 전체 주가 척도로서의 평균수익률, 주가수익률 등의 시계열 및 국제비교,
3. 등락종목수, 신고가, 신저가 종목수의 시계열분석,
4. 거래량, 거래대금 등의 시계열분석,
5. 거래량 상위종목의 거래량 점유율 시계열분석,
6. 투자자별 매매동향,
7. 기관투자가의 포트폴리오 분석,
8. 주식분할 및 증자 등의 동향분석,
9. 기타증권행정지도, 자율규제 등을 들 수 있다.시장조치증권거래소는 유가증권의 공정한 가격형성과 급격한 시세변동에 따른 투자자의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종 시장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우선 제도적으로 가겨촉을 제한하고 배당, 유무상 증자 등에 대한 권리락 가격을형성케 하는 조치가 있다. 이어서 시장변화에 따른 조치로서 예납조치, 관리 및감리종목 지정, 매매거래 정지 및 해제, 위탁증거금률 조정이 있다.
증권거래소는 과당투기현산 등 불공정한 거래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때는 위탁증거금을 인상한다든지 예납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위탁증거금이란 증권의 매매주문을 내기 이전에 필요한 증거금에 대한 비율로서 최저30%이상의 범위에서 증권거래소가 시장의 상홍에 따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위탁증거금은 현금이나 매도증궈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갈음하는 유가증권을대용가격으로 환산하는 대용증권이 있다. 예납조치란 특정한 종목에 대한 지나친주가상승은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매매주문 이전에 매수자금이나 매도증권을 미리납부케 하는 시장조치를 말한다.
특정한 종목이나 거래원 또는 위탁매매와 자기매매를 구분하여 예납조치를 할 수있게 되었다. 예납조치에는 매매호가 전 예납과 수도 전 예납으로 구분된다.
매매주문 1. 증권회사에 계좌를 개설하여 고객으로부터 유가증권 매매주문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문서에 의한 방법과 전신. 전화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된다. 문서에 의한 주문은 매매주문표에 위탁자가 기명날인하여야 하고 매매 주문표에는 매매거래의 종류(신용거래/현금거래),종목, 매도 또는 매수의 구분 , 수량, 가격, 매매를 행하는 시기, 위탁주문은 유효기간, 주문접시간 등을 기재하독 되어 있다.
전화·전산에 의한 주문은 매매거래 위탁을 받았을 때에는 일단 주문의 접수자가 주문표를작성하여 기명날인하고 당해 매매거래가 성립되었을 때는 그 사실을 지체없이 위탁자에게통보(전화·전신에 의한 통지도 좋음)하여야 한다.
매매거래를 위탁하는 경우 가격지정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잇다. 매매에 특정가격을 지정하여위탁하는 지정가 주문,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으로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달라는 성립가주문가격을 지정하되 상·하한폭을 두어 증권회사의 재량에 맡기는 요량주문의 세 가지가 있다.우리 나라에서는 지정가 주문만을 사용하기로 되어 있다.
2. 증권회사에서 계좌를 개설한 후 매매주문을 내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은 우선 매수증거금에해당하는 현금을 지급시켜야 한다. 매매주문은 일반적으로 주문표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매수주문표는 적색, 매도주문표는 청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주문표에는 종목, 수량, 가격, 계좌번호, 비밀번호, 성명 등을 본인이 직접 정확하게기록하는것이 원칙이다. 주문시 분명히 확인할 사항은 "매도인가, 매수인가"와 "현금거래인가, 신용거래인가"를명확히 해야 하고 주문은 문서뿐 아니라 전화주문도 가능하다. 주문의 착오가 간혹발견되는 경우가있으므로 매매주문 후에는 체결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매매체결원칙 증권시장의 경쟁매매에서 호가주문을 처리하는 데 있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격우선, 시간우선, 수량우선 및 위탁매매우선의 원칙이 있다.
매수법(purchase method) 기업합병에 따르는 회계처리 방법의 하나로 기업합병을 합병회사가 피합병회사의 순자산을 매입함으로써 피합병회사의 독립성이 상실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다. ⇔ 지분풀링법
매수역지정가주문(buy stop order) 주문시에 제시한 역지정가격 이상으로 가격이 상승하면 지체없이 시장가격으로 매수할 것을 위탁하는 주문이다. 공매한 주식에 대해 기존의 이익을 실현하거나 추가적인 손실을 축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매도역지정가주문
매수청구권 영업 전부 또는 일부의 양도·양수, 영업 전부의 임대, 합병 등을 위한 이사회결의가있을경우 그 결의에 반대하는 주주가 주총 전에 회사에 대하여 보유주식을 공정한 가격으로매수할 것을 청구하는 권리를 말한다.
이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주총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서면을제출하여 청구의 통지를 하여야 하며, 당해법인은 2개월 이내에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이 때 매수가격은 원칙적으로 회사와 청구자간의 합의에 의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사회결의 전 60일간의 평균가격으로 산정되며 회사는 매수청구에 의해 매수한 주식을 매수일로부터 1년 이내에 처분하여야 한다.
매수포지션(long position) ① 주식이나 통화 또는 선물이나 옵션 등에 대해 가격의 상승을 기대하고 매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상태 ② 매수한 수량이 매도한 수량을 초과한 상태 ⇔ 매도포지션
매수헤지 (long hedge) 미래에 특정 상품(현물)을 매입해야 하는 수요자가 가격상승에 대비하여 현재시점에서 그 선물계약을 매수함으로써 가격상승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말한다. ⇔ 매도헤지
매집(accumulation) 특정한 종목의 주식을 가격에 구애받지 않고 대량으로 사모으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경영권이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시세차익을 얻고자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한 경우, 매집한 주식을높은 가격으로 발행 회사에 인수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사 가지가 있다.
특히 이 가운데 경영권 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매집은 미국이나 영국 등에서 주식공개배수제도(TOB)를 통하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실권주회사가 유상증자를 실시할 때에는 주주에게 종래 가지고 있던 주식수에 비례하여신주인수권이 부여되며 주주는 청약기일까지 주식인수의 청약을 마쳐야 하고납입기일에 해당금액을 납입함으로써 신주의 주주가된다.
그러나 청약기일까지 인수되지 않거나 또는 인수가 되었어도 납입기일까지 납입을하지 않으면 신주인수의 권리를 상실하는데 이로 인하여 발생한 잔여주식을 실권주라한다.
이 실권주의 확정시점은 원칙상 청약기일이 아니고 주금 납입기일이다.그러나 청약기일까지 납입금과 동액의 청약증거금을 청약과 동시에 납입케 하는 관행에따르면 실권주는 납입기일을 기다리지 않고 청약기일에 이미 확정된다.
이런 실권주는 신주인수권 배정률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주의 경우와 같이 신주발행의 효력이 생기지 않게 되어 수권주식 중 미발행 주식으로 남게 되나 이사회 결의로주주를 모집하거나 특저인에게 배경하거나 하여 주주발행결의로 정한 납입기일까지납입을 시키기도 한다.
광의로 회사설립시에 발행된 주식의 인수인은 납입기일까지 납입의무를 이행하지아니함으로써 실권된 경우의 그 주식을 포함하여 사용하기도 한다.실기주넓은 의미로는 결산기일 또는 신주인수권 배정기준일까지 명의개서를 하지 않고기일을 넘긴 주식을 말하나 좁은 의미로는 신주 발행의 경우에 인수권 배정기준일까지주식의 양수인이 명의개서를 하지 않아 주주명부상의 주주인 양도인에게 배정된신주를 말한다.
이런 실기주는누구에게 귀속시킬 것인가가 문제된다.<상법>의 규정에 의하면 주주명부에 그 주소와 성명을 기재하지 않은 양수인은 회사에대항하지 못하므로 대 회사관계에서는 문제될 것이 없으나 당사자간의 법률관계는 매우복잡하다.
원칙적으로는 신주인수권은 양수인에게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주주명부상 명의개서가되지 않았다는 사실로 실기주가 양도인에게 귀속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양도인이 신주의 인수납입까지 마친 경우에는 양수인이 양도인에 대하여 신주의인도를 청구하고 이미 처분하였을 경우에는 그매매대금에서 신주인수금을 공제한 차액의인도를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양도인은 양수인을 위하여 사무관리를한것이 되는 까닭이다.
또한 양도인이 이미 배당금, 무상신주와 같은 단순히 권리만을 취득한 경우에는 양도인은부당이익을 취한 것이 되어 실질상의 권리자인 양수인이 양도인에 대하여 부당이득 반환을청구할 수 있다.
매출액경상이익률 (ordinary margin) 기업분석기법 중 양적 분석지표의 하나이다. 경영활동의 성과를 총괄적으로 파악하는지표로서, 기업의 이익변화가 매출마진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매출액의 변동에따른 것인지를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매출액경상이익률 = (경상이익 / 매출액) * 100(%)
매출액 순이익 (ratio of net income to net sales) 매출액과 순이익과의 관계를 표시해주는 비율로서 매출액 100에 대하여 순이익이몇 %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따라서 이 비율은 주로 기업활동의 총체적인능률을 판단하는 지표이며 기업의 최종 수익성을 판단하는 비율이다.
매출액 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액) * 100(%)
일반적인 판단기준으로서의 표준비율은 없으나 이 비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다.
매출액순이익률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평균적인 수익성을 판단하고 비교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지표다.
매출채권회전율 활동성 지표의 하나로 매출액을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 등 매출채권 잔액으로 나눈 비율로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매출채권관리가 잘 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매출총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이익으로 손익계산서 작성과정에서 처음으로 산출되는 이익개념이다.
머리어깨 모형 (head and shoulder model) 증권의 기술적 분석 중 패턴 분석모형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모델으로서 삼봉형이라고도 불린다.머리어깨 모형은 극히 단순한 형태로서 상승과 하락이 세 번 반복해서 일어나며 두번째 정상이 다른좌우의 정상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따라서 두 번째 정상을 머리라고 하고 왼쪽의 것을어깨라고 한다.
왼쪽 어깨는 머리어깨형이 형성되는 제 1국면으로서 주가는 강력하고 가파른 상승추세가 형성되어고점을 형성하면서 대량거래를 수반한다. 주가가 고점에 이르기까지에는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는양상을 보이지만 고점을 형성한 후에는 적전 상승국면에서 보여주었던 거래량보다 상대적으로 적은거래량을 수반한다.
머리는 앞서 형성된 고점에서 주가가 반락하여 더 높은 수준으로 하락한 후 다시 새로운 상승을 시작함으로써 형성된다. 머리부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거래량은 제 1국면에서보다상대적으로 적은거래량을 보여주지만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은 왼쪽 어깨가 형성될때와 같다.
오른쪽 어깨의 형성은 주가가 세 번째 회복국면으로 진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오른쪽어깨가 형성될 때의 거래량은 제1, 2 국면이 형성될 때보다 결정적으로 적은 거래량을 수반한다.이때 주가상승은 모형의 머리에 해당되는 고점의 가격수준까지 연결되지 못하고 그이하에서 멈추게되는데 대부분 왼쪽 어깨 정상 부근에서 고점이 형성된다.
면세소득(tax-free income) 세금의 부과가 면제되는 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과세하지 않는 비과세소득과는 구별된다. cf. 비과세소득
명목수익률(nominal rate of return) 인플레이션에 의한 화폐의 실질가치의 하락을 고려하지 않은 투자수익률 ⇔ 실질수익률
명목이자율(nominal rate of interest) 채권, 예금 등 금융상품의 액면금액에 대한 이자율, 즉 유가증권 권면에 표시된 이자율을일컫는 말로 실효이자율(effective interest rate)과 대조되는 개념이다.
①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 ② 복리를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 cf. 단순이자율
명목GNP 당해연도의 최종생산물의 수량에 당해연도의 시장가격을 곱하여 산출되는 GNP로서 경상가격GNP라고도 한다. ⇔ 실질GNP
명목환율 (nominal exchange rate) 외환시장에서 매일 고시되는 이종통화간의 환율을 말한다. 외환시장에서의 명목환율은일반적으로 은행간 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말하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통상 은행이고시하는 환율이된다.
모라토리움(moratorium) 특정 형태 또는 모든 형태의 채무에 대해 일정기간 동안 원금과 이자의 상환을 유예하는 정부의 대외 비상조치로 경제환경이 극도로 불리할 때 채무자를 보호함으로써 파산이나 신용파괴의 도미노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명의개서 (transfer of shareholders name) 기명주식의 양도 및 상속이 있었던 경우에 양수인이나 상속인의 이름과 주소를 회사의주주명부에 기재하여 주주명의를 변경하는 것으로 명의개서를 하지 않으면 회사에 대해서 주주로서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 명의개서는 양수인이나 상속인의 청구에 의해서 언제든지 가능하나 주주명부 폐쇄기간중에는 정지된다.
명의신탁주식 증권거래소 통계에 따르면 1994년 말 대주주 1인의 지분율이 23.0%, 기타주주가5.4%로 되어 있어 가명이나 차명 등을 이용한 위장분산분이 상당수에 이를 것으로보고 있다.
재무부 예규나 국세심판판례에 의하면 타인명의로 주식을 위장분산한 경우 명의소유자에게는 증여세를 과세하고 주권 실소유자에게는 해당 소득에 따라 소득세를과세하며 해당 법인에 대해서는 공개법인의 요건을 충족 여부에 따라 법인세를추징하도록 되어 있다.(현재는 세법상 공개법인과 비공개법인의 차이가 없어짐)
따라서 주식명의를 분상시킴으로써 배당 소득세가 감소된 경우는 조세회피 목적이 있는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법원의 판례를 보면 "<증권거래법> 제 200조 소정의 주식소유상한을 회피하기위해 친지에게 주식을 명의신탁한 것을 증여로 볼 수 없다.
주거래 은행과 정부당국으로부터 계열사 처분압력을 받아 이를 모면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명의개서는 소유자 명의만 취득했을 뿐 아무런 권리가 없으므로 증여의제를 적용할수없다"고 되어 있어 증여의제를 부인하고 있다.소나모멘텀차트SONAR 모멘텀 차트는 1979년 일본 노무라 증권의 기술적 분석가인 오카모도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서 주가 사이클의 전환점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시계열 차트이다.
모멘텀이란 기하학적으로는 곡선 위의 한 점의 기울기를, 경제학적으로는 한계변화율을 의미한다.따라서 SONAR 모멘텀은 기술기의 변화를 통해 주가의 상승·하락의 강도를 사전에 알수 있게해 준다.
즉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기울기가 둔화되면 향후의 주가는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면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기울기가 상승하면 주가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수 이동평균 산출공식
금일 지수이동평균 = 전일 지수이동평균 + a * ( 금일 종가지수 - 전일 지수이동평균 )
0 < a < 1
· 소나 모멘텀 산출공식
금일의 n일 소나 모멘텀 (SONA(N)) = 금일 지수이동평균 - n일 지수이동평균
모기지 증권 (mortgage) 주택용, 상업용 등의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채권을 증권화한 것이다.1970년대 미국 정부금고(GNMA)의 모기지를 근거로 발행된 원리금자동이체(pass-through)증권이 시초이다.
그 이후 연방주택국, 연방수탁금융저당금고, 연방주책정금고 등이 잇달아 부동산담보대출채권(모기지)을 증권화함으로써 모기지 증권시장은 매국채 시장과 더불어중요한 시장이 되었다.
발행형태는 증서발행의 근거가 되는 저당권에 대한 직접소유권이 부가된 원리금자동이체증권, 자금을 빌려주는 사람이 모기지를 담보로 발행하는 중간에 위치하는원리금이체(pay-through)증권이 있다.
최근에는 원리금이체증권의 일종으로 원금과 이자를 분리한 분리형 모기지 증권도증가하고 있다. 모기지 증권은 원래 만기일 이전에 상환되는 것이 있게 마련이고 이런기한 전 상황권리를 모기지의 차입자가 가지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옵션으로 보면 기한 전 상환 옵션의 매도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금리가 하락하면 주택대출의 만기 전 상환이 늘기 때문에 모기지 증권의 원리상환이진행된다.
이 경우 원금만을 수취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PO(prinvipal only) 증권은 수입이늘어나게 되고 원금이 줄어드는 만큼 IO(interest only) 증권은 수입이 줄게 된다.헤지 천드의 하나인 아스킨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이런 모기지 증권에 거액을 투자해서크게 실패했다.
상품내용이 복잡해짐에 따라 리스크 관리도 한층 어려워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부실채권의 해결이 최대 과제가 되고 있다.미국에서는 부실채권 처리방법의 하나로 모기지 증권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부동산 담보채권의 증권화, 부동산 자체의 증권화가 필수불가결하다는 지적이 많다.
다만 일본에서는 미국과 같이 높은 리스크를 부담하는 투자가층이 없는데다가 채무자들이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자신의 채무가 매매된다는 데 대한 저항감이 커 문제로지적된다.
또 부동산 가격이 부동산의 이용가치와는 무관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부동산으로부터발생하는 현금흐름을 확정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이 때문에 미국과 같이 확고한 모기지시장이 성립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모라토리엄특정 형태 또는 모든 형태의 채무에 대해 일정기간 동안 상환을 연기시키는 정부의조치를 말한다. 이는 경제환경이 극도로 불리할 때 채무자를 보호함으로써 전반적파산이나 신용의 파기를 방지하기 위해 취해지는 비정상적인 조치이다.
한 국가 및 국제기관으로부터의 차관에 대해 그 상환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교섭하는것을 모라토리엄 교섭이라고 한다.
모럴헤저드(moral hazard) ☞ 도덕적 해이
모멘텀(momentum)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려는 경향 즉, 가속률로서 추세분석의 기초가 된다. 증권시장에서는 가격과 거래량의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개별증권이나 전체시장의 모멘텀을 파악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
모자형 투자신탁 (family fund) 모자형 투자신탁이란 다수개별 펀드의 신탁재산을 1개 또는 특성을 달리하는 여러개의 母信託에서 통합하여 종합운용하고 子信託에서는 펀드의 성격에 따라 해당母신탁의 수익증권을 편입하여 신탁재산을 운용하는 집중관리 형태의 투자신탁을말한다.
이 모자형 투자신탁의 설정에 있어서는 母신탁을 먼저 설정하여 발행한 수익증권을수탁자에게 취득시킨 후에 그 수익증권을 다시 子신탁의 신탁재산에 편입시켜 子신탁을설정하고 子신탁의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일반 투자신탁자에게 취득시키게 된다.
여기서 母신탁이란 다수의 개별신탁의 자금을 모아 통합운용하는 신탁으로서 직접주식이나 공사채 등의 유가증권에 투자, 운용하되 일반 투자자는 그 수익증권을 취득할 수없고 子신탁만이 취득 가능한 신탁을 말하며, 子신탁이란 母신탁의 수익증권을 편입하여운용하는 개별신탁을 말한다.
이런 패밀리 펀드의 유래는 일본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1975년 말에한국투자신탁에서 신주투자신탁(제1호) 수익증권을 발행한 것이 시초이다.
모집설립 주식회사를 설립할 때 발기인만으로 창립자본금을 모집할 수 없을 경우 발기인인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주식들을 주주들에게 공모하는 방식으로 주식회사를설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공모설립이라고도 하며 대동은행 등 신생 시중은행과 5개 지방투신사 등이모집설립 형태를 취하였다. 모집설립은 주주르 모집, 창립자본금이 납입됨으로써성립되기 때문에 회사의 사업내용이나 발기인의 주식인수절차 등 이해관계를 분명히해야 한다.
따라서 주주모집에 앞거 발해되는 주식에 관한 유가증권신고서를 증권당국에 제출,그 효력발생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상대강도지수가격의 추세전환을 포착하고자 하는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은 언제추세가 전환되는가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추세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가 있다면 과도한 상승추세시 매입을자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매도에 나설 수 있고 반면 과도한 하락추세시 매도를 자제하고 도리어 매수에 나설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8년 웰레스 월더(J. Welles Wilder, Jr)가 RSI(Relative Strength Index)를 개발하였다. SRI는 현재의 가격추세가 상승추세라면 얼마나 강력한 상승추세인지 혹은 하락추세라면 얼마나 강력한 하락추세인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RSI = N일 간의 주가상승폭 합계/ ( N일간의 주가상승폭 합계 + N일간의 주가하락폭합계) * 100
N일은 9 ∼14일 또는 25일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75% 이상 |
강세 |
50% 정도 |
보통 |
25% 이하 |
약세 |
모험자본(venture capital) 상대적으로 투자위험은 크지만 일반적인 수준보다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시도하는 데 필요한 자금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한국기술개발(주). 한국기술진흥(주), 한국기술개발금융(주) 및 한국개발투자(주) 등에서 벤쳐캐피탈에 대한 창업투자를 제공하고 있다.
무기명주식(bearer stock, unregistered stock) 주권에 주주의 성명을 기재하는 배서를 하지 않고 주주명부의 명의개서도 하지 않는주식을 무기명주식이라 한다. 무기명주식은 주권의 교부로써 양도할 수 있으며 그주주권의 행사를 위해서는 회사에 주권을 공탁하여야 한다(<상법> 제 358조).
또한 주권을 분실하였을 경우 현행 <상법>은 선의의 취득자를 보호하기 위하여수표법상의 규정을 준용하여 주권소지인이 악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권반환 의무가 없도록 되어 있다(<상법> 제 359조). ⇔ 기명주
무기명채권(bearer bond, unregistered bond) 채권의 최초 매입자나 그 유통과정과 관계없이 채권의 소지자에 대해 소유권을 인정하는 채권
무담보사채(debenture, unsecured bond) 특정한 물적 담보의 제공없이 발행자의 신용을 바탕으로 발행되는 사채 ⇔ 담보사채
무디스(Moody's) 뉴욕 맨하탄에 있는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의 하나로 Dun & Bradstreet사의 자회사다. Ba등급 이상을 투자등급으로 본다.
무보증사채(non-guaranteed bond) 신용도가 높은 기업이 원리금의 상환 및 이자지급에 대한 제3자의 보증이나 담보없이기업의 신용에 의하여 발행하는 사채를 말한다. 무보증사채는 사채소지인의 원금회수에 대한 위험부담 때문에 일반적으로 보증사채보다 이자율이 높으며 기간이 단기인 것이 특징이다. 채권의 원금과 이자의 지급에 대해 제3자의 보증이 되어 있지 않은 사채 ⇔ 보증사채
무상주의 교부 무상주의 발행은 주식의 배당이나 잉여금의 자본전입으로 가능하다.주식배당은 이익배당의 전보 또는 일부를 주식으로 배당하는 것을 말한다.
<상법> 제 462조 2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도로서 금전배당 총액의 2분의 1을 포과하지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주식배당을 인정하고 있다.
물론 주식배당이 주식분할이냐 소득현실이냐 하는 논란이 많이 일고 있다. 현행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이나 <세법>에서는 소득의 실현으로 인정하고 있다. 잉여금의자본전입이란 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잉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본전입함으로써주주에게 교부하는 무상주를 말한다.
기업회계관습은 주주가 잉여금의 자본전입으로 교부받은 주식은 주식분할로 보아수익으로 보지 않으나 <세법>상 잉여금을 자본전입할 때 교부받은 무상주의 액면금액이나출자금액은 배당으로 보아 과세소득계산상 익금에 산입된다.무상증자와 주가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을 지분율에 따라 배분하는 것으로 주식의가치변동이 없이 명목금액만 높이는 것이다. 그런데 자본금을 기준으로 배당금을지금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배당을 추가로 지급해야 되는 부담이 생긴다.
미국에서는 주식분할, 주식배당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우리나라의무상증자에 대한 실증분석한 김형주(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무상증자와 주가반응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1989)의 1983-1988년까지 6년간의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는 준강형 효율시장가설 검증에서는 무상증자는 주가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만 권리락 시점에서의 주가반응은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둘째, 무상증자는 권리락 시점이 강세시장인 경우 약세시장인 경우보다 높은 초과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무상증자의 실시가 재평가적립금에 의한 경우와 이익잉여금에 의한 경우를구분하여 주가반응을 살펴본 결과 재평가적립금이 이익잉여금에 의한 경우보다권리락 가격이 적게 형성되어 세금효과와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다.
무액면주(non-par value stock) 주권에 액면금액이 적혀있지 않은 주식으로 액면이 없기 때문에 주식분할이나 주식배당 등이 용이하다. ⇔ 액면주
무역수지(balance of trade) 일정기간중 한 국가가 대외로 수출한 상품이나 용역의 총액과 대외로부터 수입한 상품이나 용역의 총액간의 차이로 국제수지의 기본이 된다.
무역어음 수출업체가 신용장을 토대로 발행한 어음으로 선적 전 수출업자에 대한 금융수단이 된다.
무위험수익률(risk-free rate of return) 이론상 무위험자산의 수익률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국공채나 정부가 지급을 보증한 채권의 수익률 등을 대용치로 사용한다. cf. 무위험자산
무위험자산(risk-free assets, unrisky assets) 이론상 미래의 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이 전혀 없는 자산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위험이 전혀 없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이론의 전개를 목적으로 정부가 발행한 국공채나 정부가 지급보증한 채권 등을 대용치(proxy)로 사용하고 있다. ⇔ 위험자산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소비자가 두 가지 상품만을 구입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두 재화로부터 무수히 많은 조합들을 얻을 수 있는데, 그 중 동일한 만족을 주는 조합들을 연결한 것으로 한계효용이 감소함에 따라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무한채권(unlimited bond) 원금은 상환하지 않고 일정한 이자만을 영원히 지급하는 채권으로 영구채권이라고도 한다. 영국의 British Consol과 미국의 TVA공채 등이 있다. ⇔ 유한채권
무형고정자산(intangible assets) 물리적 실체가 없이 장기간에 걸쳐 특정 기업에게 효익을 제공할 수 있는 자산으로 영업권이나 특허권 등이 있다. ⇔ 유형고정자산
물가지수(price index) 기준시점에 대해 비교시점의 전반적인 가격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
물량압박 증자 등으로 인하여 부동주가 늘어나서 주가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못한 것을 말하는데대량의 매도물량으로 인하여 시세가 하락하는 경우도 물량 압박이라고 한다.
뮤추얼펀드(mutual fund)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발행하여 돈을 모아 증권투자를 하는 회사로서 미국에서는일반화된 투자신탁 펀드이다. 펀드 매니저의 운용실적에 따라 높은 투자수익을올리기도 하고 손실을 보면 원금조차 손해를 보아야 하는 고수익, 고위험 투자신탁이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오픈 엔드형(open-end)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자금을회수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언제든지 증권시장에서 매매하면 된다.
미국에는 1997년 말 현재 7,000개 가량의 뮤추얼 펀드가 있으며 자금 운용규모는무려 4조 5천억달러에 이른다.우리 나라도 1998년 7월부터 뮤추얼 펀드를 허용하였다.글로벌본드미국, 아시아, 유럽 등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함께 발행되어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서 대규모의기채가 가능하고 유동성이 높은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외국환평형기금채(외평채)가 이에 해당된다. ☞ 상호기금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선물이나 옵션 등에 있어서 특정 결제월을 만기로 하는 계약이 만기 이전의 기간동안 반대매매가 되지 않고 잔존해 있는 약정의 수량
미국재무부증권(U.S. Treasury securities)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재정증권으로 단기, 중기 및 장기 재무부증권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매우 높은 투자수단으로 인식된다.
미국형 옵션(American option) 옵션의 만기일까지의 기간동안 언제라도 권리의 행사가 가능한 옵션 ⇔ 유럽형 옵션
미래가치(future value) ☞ 종가 ⇔ 현재가치
미상환 융자금 주식을 매입하기 위하여 고객이 증권회사 혹은 증권금융으로부터 융자받은 신용거래융자대금은융자받은 날로부터 150일 이내에 상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잡세가 하락국면이지속되는 경우상환기간내에 매도상환을 하지 못하고, 또한 현금상환도 하지 않아 상환기간이 초과된 융자금을미상환 융자금리라고 한다.
이같은 미상환 융자금은 상환기간 만료일 그 익일에 강제반대 매매하도록 되어 있으나 대세하락시깡통계좌 발생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며 대개매물로 잠재하고 있어 장세압박요인으로작용하기도 한다옵션델타옵션 및 포지션 형성성려면 그 행사이익을 고정시켜 옵션 자체의 가치는 선물이율의변화에 의해 올라가고 내려간다. 거기서 선물이율의 변화가 행사기간의 남아 있는가치에 주는 영향의 비율로서 고려되는 것이 옵션 델타이다.
옵션 델타 = 옵션 가치의 변화/선물이율의 변화
옵션 델타는 옵션 가치의 변화를 선물이율변화에 편미분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옵션 델타가 제로보다 작을 경우 환율의 하락에 의한 이익을 얻는 포지션이다.이에 반해 옵션 델타가 제로와 같은 경우는 포지션 가치에 변화가 생기지 않으며클 경우 환율의 상승에 의해 이익을 얻는 포지션이다.미수금기업회계에서는 기업의 일반적 상거래, 즉 당해회사의 상거래 이외의 경상적 내지는비정상적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하는 것이지만 증권용어로는 보통거래 및 신용거래와관련하요 고객이 중권회사에 납부해야 할 현금, 즉 매수대금의 미납금, 신용상환의 결제부족금, 무상주에 대한 제세금의 미납금 및 유상증자 청약대금 미납액을 말한다.
이와 같은 미수금이 발생하면 증권회사는 고객에게 구두, 전화, 세면 등의 방법으로즉시 통보하여납부하도록 화여야 하며 만일 기일내에 납입되지 아니하면 수탁계약준칙에 따라 결제정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미수금이 많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미수금정리를 위한 매도물량이 눌어나기 때문에 장세도 영향을 받게 되며 따라서 미수물량의 증감이 시장의 강약을 갈음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ㅅ"증권용어 (0) | 2009.03.17 |
---|---|
[스크랩] "ㅂ"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ㄹ"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ㄷ"증권용어 (0) | 2009.03.17 |
[스크랩] "ㄴ"증권용어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