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스크랩] "ㄱ" 증권용어

설송대수 2009. 3. 17. 19:15

가격가중지수 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들의 가격에 의해 가중치를 둔 지수를 말한다. 가격이 높은 증권이 가격이 낮은 증권보다 이 지수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격결정일 채권발행을 위한 계약체결직전에 시장여건및 발행자의 신인도 등을 감안하여 채권의 최종적인 발행조건, 즉 발행이율및 발행가격 등이 결정되는 날을 말한다. 주간사회사는 예상판매회사들이 제시한 판매희망액과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공동간사회사와 협의를 거친 다음 발행조건을 결정하고, 발행자가 그 조건을 수락함으로써 발행계약은 정식으로 체결된다. 만일 발행조건을 변경할 경우 일반적으로 쿠폰금리는 잠정조건대로 고정시키고 적정수익률이 보장되도록 발행가격(issue price)을 조정하거나 발행액을 증감시킨다. (→가격결정회의, 발행가격)
가격우선의 원칙 증권시장의 경쟁매매에서 매수주문의 경우 높은 가격의 호가주문이 우선하고 매도주문의 경우 낮은 가격의 호가주문이 우선한다는 원칙

가격변동준비금 (stop limit order) 증권시장에서 주가의 등락이나 신탁재산에 편입된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의 변동이나금리변도에 따른 채권의 발행이율 또는 시장수익률변동등에 의해서 투자신탁의 수익은매결산기마다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투자신탁은 수익금이 많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일부 소정의 적립률에 비례해서준비금을 적립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 준비금은 차기 결산시 원본에 손실이 발생하였거나이익이 평균 이익분배율에 미달하는 경우 원본을 보전하고 이익을 보전시켜 이익분배율의평준화를 도모하고자 설립된 것이다.

가격역지정주문 (stop limit order) 투자자가 주식의 매매주문을 할 때 시장의 주가가 특정한 가격을 상회하면 매입하고반대로 특정한 가격을 하회하면 매도할 것을 위탁하는 주문형태이다.그러나 이런 주문방식은 매우 투기적이고 공정한 시장가격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고보아 우리 나라의 <증권거래법>에서는 이를 금지시키고 있다.

가격제한(price limit) 당일 거래시간 동안 등락할 수 있는 최대한의 가격변동폭으로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급격한 가격변동에 의한 투자자의 피해와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증권시장은 자본주의체제에서 가장 대표적인 완전경쟁시장이라 할 수 있지만 매수는또 다른 매수를 불러일으켜 주가상승을 재촉하고 매도는 역시 다른 매도를 촉발시켜주가하락을 심화시키는 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제한시켜 어느 정도 주가의급등락을 완화하자고 각 종목별 하루의 상,하한가 가격폭 제한을 하고 있다.

가격폭 제한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가격에 대한 제한폭을 미리 결정하여놓고 상승시에는 상한가까지, 하락시에는 하한가까지 제한시키는 제도이다.각 가격단위별 가격 등락폭이 각기 다르게 규정하였던 것을 1995년부터는 일률적으로6% 범위내에서 상한가,하한가를 결정하고 있다.

과거 주가가 높은 경우 그 상,하한가의 폭이 적던 것이 일률적으로 6%로 결정함에 따라고가주보다 저가주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996년 <7월 12일 신증권정책>에의하면 1996년중 가격폭 제한을 8%로 확대하였으며 현재는 12%이다.

가격폭 제한을 하게 되면 주가가 급등할 때는 사자는 주문이 팔자는 주문을 훨씬 초과해서사자는 주문의 잔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다음날 주가상승으로 이어지게 하고 반대로주가가 급락할 때는 매도주문이 쌓여 매도잔량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그 다음날에도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가산금리(added rate) ① 금융기관이 대출을 할 때 상대적으로 신용상태가 낮은 거래처에 대해 정상적인 금리에 부가하여 요구하는 벌칙금리 ⇔ 우대금리 ② 금융기관들이 예금을 유치할 때 기본금리에 가산하여 지급하는 금리


가속상각(加速償却, accelerated depreciation) 내용년수의 초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원가에서 차감하는 감가상각방법으로 내용년수를 단축하여 상각률을 높임으로써 고정자산을 급속하게 유동화시킨다.

가장매매 (wash sale) 동일인이 동일종목의 매도와 매수 주문을 동시에 냄으로써 그 주식의 매매가 활발한것으로 보이게 하거나 자신의 의도대로 시세를 조정하는 매매를 말한다. 또한 2인 이상이공모하여 행하는 가장매매를 통정매매라고 한다.

가장매매는시세조종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매매거래상황을 타인에게 오인시켜 공정거래에저해되는 행위를 하는 것이므로 <증권거래법>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다.

가중주가평균 (weighted stock price average) 단순 주가평균이나 수정 주가평균은 채용종목의 주가만을 산술평균한데 비하여 가중주가평균은 각 종목의 거래량이나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 하여 가중평균한 주가이다.
매매거래량을 가중치로 하는 주가평균은 기간중의 총거래대금을 총거래량으로 나누어산출(총거래대금/총거래량)하고 상장주식을 가중치로 하는 주가평균은 시가총액을상장주식수로 나누어 산출(시가총액/상장주식수)한다. 전자는 주가평균이라기보다는1주당 평균매매가 격으로 시장의 인기나 경기동향을 보는 데 적합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증권거래소가 1983년 주가지수 산출방식이 시가총액으로 전환되면서각 지수별로 채용종목의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 한 가중주가평균을 단순주가평균과함께 산출하고 있다.다우 이론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적 분석에서 다우 이론은 19세기 초에 형성되기 시작하여찰스 다우가 완성한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추세를 강조하고 있으며, 1929년 대공황으로미국증권시장의 붕괴를 예언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우 이론은 개별종목 예측에 사용되고 있자먼 원래 증권시장 전체의 추세를 예측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주식시장은 세 가지 움직임, 즉 주추세 또는 1차 추세,중기 추세또는 2차 추세, 일일변동 또는 소추세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주추세는 1년 이상 수년간 계속되는 주가의 장기적인 상승 또는 하락운동을 일컫는것으로주가의 장기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주추세선이 상승세에 있을 때는 강세장이라 하고,하락세에있을 때는 약세장이라고 한다. 주추세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사람에게 유용한지표가 된다.

중기추세선은 주추세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장기추세를 조정하려는 주가의 반동작용에 의해서나타나며 통상 3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된다. 강세장에서는 주가가 중기조정이나 하락할때에는중기추세선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약세장에서는 주가가 중기회복을 하면서 나타난다.보통 중기추세는 주추세의 진행방향에서 1/3 내지 2/3 정도의 반작용을 나타낸다.소추세는 매일매일의 단기적인 주가변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추세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중요시되지 않는다.

다우 이론은 어떤 주추세에서 다른 주추세로 전환하게 되는 시기를 포착하고 이러한전환이이루어짐을 알리는 신호를 알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주추세의 전환을 알려주는것으로서 다우 이론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신호는 붙임점(abortive point)이라고 한다.주추세선이 상승 추세선에서 하락추세로 전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붙임점은 중기추세의 최고점이 그 이전의 최고점보다 낮을 때 나타난다.

주추세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강세장은 강세 1국면(매집국면으로서 바닥권에서 대량거래가이루어지면서 새로운 수요세력들이 부상한다), 강세 2국면(마크 업 국면으로 본격적인주가상승기에 접어들면서 높은 투자수익을 준다), 강세 3국면 (파열국민으로서 대량거래가나타나고 매수매도의 치열한 공방전이 지속되면서 약세장으로 전환된다)으로 진행된다.

약세장은 약세 1국면 분산국면으로서 지나친 과열을 감지한 전문투자자들이 시장을빠져나가면서 공급우위현상을 보인다) 약세 2국면(공항국면으로서 거래량의 급감현상, 주가의폭락현상이 이어지고 있어 투자심리가 급랭하게 된다), 약세 3국면(침체국면으로서 미처처분하지 못한 일반투자자들이 실망투매를 하게 되나시간이 지나면서 주가의 낙폭이줄어들고 거래량도 감소하여 바닥권의 주가를 형성하게 된다)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다우 이론은 주추세와 중기추세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추세반전을 확인할 수있더라도 너무 뒤늦게 확인되기 때문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중권위험에 대하여 아무런정보를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성을 주장하고 있다.

가중평균 배당수익률 증권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상장주식수에 비례하여 보유하는 경우, 즉 상장종목별시장구성비와 동일한 비율로 구성된 시장 포트폴리오의 평균 배당수익률로서 배당금총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가중평균 배당수익률 = 전종목의 배당총액/시가총액 *100 (%)

가중평균 배당수익률은 상장주식수를 가중치로 하고 있으므로 상장주식수가 많은종목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장주식수가 많은 종목이 적은 종목에 비하여 배당수준이높을 경우에는 단순 평균배당수익률보다 가중평균 배당수익률이 높게 나타날 것이며반대로 가중평균 배당수익률이 단순 평균배당수익률보다 낮게 나타나게 된다.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기업의 총자본에 대한 평균조달비용을 말하는데, 조달원천별로 총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 즉, 자본구성비율을 조달금리에 곱하여 그 적(積, product)을 모두 합산한 것으로 자본구성비율을 가중치로 하여 평균한 자본조달비용을 뜻한다. (※ 積 : A*B)

가트(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간사단 (management group) 증권발행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서 당해 증권발행의 타당성 여부, 소화 가능성,발생시기, 발행조건 등을 발행자와 협으하여 결정하며 인수단 및 청약기관을 구성하여증권인수에 따른 위험부담을 분산시킨다.

만약 증권발행규모가 방대하여 일개의 간사회사로서 발행업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간사단을 구성하여 간사업무를 분담한다. 이 경우 간사업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회사를주간사회사라고 하는 이를 도와주는 기타 간사회사를 공동간사회사라고 부른다.

간사회사는 대외적인 공신력, 자금력 등 여러 가지 조건이 구비된 회사가 그 업무를수행해야 되기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유가증권 인수업무에 관한 규정>에 그 대상기관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간사회사  (manager cooperation) 증권발행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을 지칭하는 말로서 발행증권의 발행타당성, 소화가능성,발행시기, 발행조건, 등을 발행자와 협의하여 결정하게 되며 인수단을 결성하고청약기관을 구성하여 증권을 인수하여 발행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게 된다. 만약 증권의발행규모가 클 경우에는 한 개의 간사회사로서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간사회사들끼리산사단을 구성하게 되고 이 간사단에 핵심적인 업무를 밭게 되는 주간사회사와 나머지간사회사를 공동간사회사라고 한다.공모증자신규로 주식을 발행함에 있어서 일반대중으로부터 발행유가증권의 응모를받아서 하는 증자를 말한다.

우리 나라는 종전에는 기업공개에만 유가증권 공모방법을 이용하였으나시가발행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1983년 이후부터는 상장법인이 시가발행에의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 신주의공모방법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1996년 현재 유상증자시 시가 할인율을 30% 이내로 허용하고 있어 실권주를의식, 할인율은 대체로 30%를 인정하고 있으나 외국기업의 국내 상장이1996년 4월부터 이루어짐에 따라 시가발행을 지향하기로 당국의 방침을수립하고 있다.

다만 시장여건에 따라 유상증자도 일반 공모증자가 일반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공모주 청약비상장기업을 공개하고자 할 때 발행신주를 일정한 자격을 갖춘 청약자들에게공모하도록 되어 있다. 공모주 청약자격은 청약관련 저축에 가입한 경우에는청약일에 속하는 전월 말일부터 소급해 3개월 이상 저축실적이 있고 청약일현재 계약을 해지하지 않은 저축자여야 한다.

1그룹은 근로자주식저축, 근로자증권저축, 근로자장기증권저축 및 농어가목돈마련저축 가입자로서 공모주식의 40%를 배정받는다. 2그룹은 일반증권저축,은행청약예금 가입자로서 공모주식의 30%를 배정받는다.

청약한도는 청약일이 속하는 달의 전월 말일부터 소급한 6개월간의 평균저축잔고이고 청약금액의 100분의 20 이내로 되어 있어 부담이 적은 편이나청약규모가 3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분 전액을 납부해야 된다.

신주공모시 공모가격이 시가에 접근함에 따라 매력이 감소하게 되고 정부는청약저축 등을 점차 축소시켜 나갈 방침이다.

간접고시(direct quotation) 자국통화 한 단위에 대한 외국통화의 가격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방법 (※ 1원 = $ 0.0008) ⇔ 직접고시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 불특정 다수의 고객들로부터 금융기관에 집중된 자금을 차입하는 것으로 금융기관을 경유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 ⇔ 직접금융

간접금융이란 자금을 필요로 하는 최종차입자와 자금을 공급하는 최종 대출자가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 사이에 신용중개기관이 존재하여 최종대출자의 자금을흡수하여 이른 최종차입자에게 공급시켜주는 금융관계를 말한다.간접금융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차입형태는 타위 관계를 말한다.

간접금융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차입형태는 타인 자본의 성격을 가지므로기업의 현 경영지배구조에는 하등의 영향을 주지 않는 점에서 기업이 주기적으로운전자금 수요가 많을 때 차입하였다가 자금사정이 호전될 때 즉시 상환하는 등자금수급에 기동성이 있으며 지급이자 등 금융비용에 대하여 세법상 손비처리가가능하므로 자급조달 수단으로 선호되고 있는 장점도 안고 있다.

그런데 간접금융의 일반적인 형태로서 물적 담보의 부담이 수반되며 부채 코스트의증가 등으로 기업의 수지가 악화될 염려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경우 간접금융제공은 대출에 대한 위험을 부담하게 되어 기업의도산으로 인한 채권부실화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 간접 금융방식을 증권을 통한직접금융방식으로 전환시켜 나가는 경향이 있다.고객예탁증권증권회사가 유가증권의 매매거래 등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예탁을 받아 일시보관중인 증권을 말한다. 증권회사의 회계처리규정에서는 이를 예수유가증권이라고한다.

고객예탁증권에는 위탁자 유가증권, 저축자 유가증권, 조건부 매도채권 등이 있다.그런데 위탁자 유기증권이란 위임 매매 등에 수반하여 위탁자로부터 받은위탁증거금의 대용증권 및 보관하고 있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저축유가증권이란 증권저축자의 저축증권 및 저축증권에 대한 신주 등을 말한다.조건부 매도채권이란 고객에게 환매조건부로 매도하여 보관중인 채권을 말한다.

증권의 예탁제도는 수도결제의 편의, 도난, 분실 등의 방지, 명의개서 대행, 배당금및 권리확보를 위해서 고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마련된 제도이다.

간접모집(indirect placement) ☞ 공모

증권모집의 한 형태로서 발행회사가 직접 일반대중으로부터 모집하는 것이아니라 전문적인 증개기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모집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증권발행은 간접모집 방법을 취하게 되며 중개기관에게는수수료를 지불해야 되는 부담이 있지만 전문적인 중개기관을 이용하여 발행위험을 해소시켜 나갈 수 있게 된다.
간접모집에는 위탁모집과 인수모집,총액인수가 있는데 위탁모집이란 발행호사가스스로 위험을 부담하지만 발행사무는 발행기관에 위탁하는 방법이고 인수모집은중개기관이 발행위험을 부담하여 만일 모집부족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잔액을인수하고 발행사무도 직접 부담하는 방법이다.

한편 총개인수란 중개기관이 공모증권의 총액을 자신의 명의로 인수하고 이에따르는 발행 위험 및 발행사무를 모두 담당하는 방법이다.우리 나라에서는 대부분 총액인수제도를 활용하고 있다.단기금융시장금융자산의 만기가 1년 미만을 단기금융시장이라고 하고, 그 이상을 장기금융시장이라 한다.단기금융시장은 콜 시장, 재정증권시장, 어음시장, 환매채시장 등으로 분류되고 장기금융시장은주식과 채권시장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단기금융시장을 화폐시장, 장기금융시장을 자본시장이라고 한다. 단기금융시장이란 장기금융시장과 원활한 연계관계를 맺고 발전하여야 효율적인 금융시장으로서의역할을담당하여 나갈 수 있다.

그런데 단기금융시장이 발달되지 않아 각종 금융기관간 자금이동이 단절되어 공개시장조작등 간접규제방식에 의한 통화관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기금융시장의 발전은시장기능에 다른 통화관리를 위해서 불가피하게 전제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간접발행 (indirect issuing) 발행자가 모집, 매출을 직접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발행의 전문기관을중개자로 개입시켜 증권발행의 구체적인 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간접적인증권발행 방법이다.

중개자는 은행, 증권회사, 단자사, 종금사, 증권신탁회사 등 증권관계기관으로발행기관이라고 하며 이들 발행기관의 인수비용이나 매출비용은 발행자가 부담한다.

이 방법은 증권발행시 금융사정 등에 정통해 있는 증권회사 등을 중개자로활용함으로써 발행사무를 원활하게 처리하고 중개자의 신용을 이용함으로써광범위한 투자자층을 대상으로 증권을 확실하게 발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간접발행을 발행위험 소재 및 그 정도에 따라 위탁모집, 잔액인수, 총액인수로분류한다.단기성 투기자금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가져다주는 주요요인으로 지적되는 것이 단기성 투기자금의 유출입이며, 그 대부분을 미국계 자금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계 자금은 1970년대 산유국의오일머니나 1980년대 후반 일본의 막대한 경상흑자를 배경으로 한 재팬 머니와는 상이한흐름을갖고 있다.

즉 산유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모두 경상흑자국으로서 이들 자금이 장기적 성격을 지녀 자연스러운 자본의 유출인 데 반해 미국은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가 모두 적자인 상태에서 금융수익을목표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다.

이런 미국자금의 이동은 대규모 적자국인 미국의 회전대로 한 자금의 유출입이라는 성격을 가져흐름이 극히 단기적이며 항상 달러 가치의 불안이 따라 다닌다. 미국자금의 유입으로동남아와중남미의 개도국 주식시장은 1993년까지 높은 상승세를 보였으나 1994년 2월부터 시작된 FBR의연이은 금리인상으로 미국자금의 본국 환류가 이루어지자 개도국 주식시장은 상당한침제에 빠지게되었고 멕시코의 페소화의 위기도 결국 미국계 자금의 이탈의 주도하였다.

이와 같이 미국계 자금은 다른 자금에 비해 단기금융수익을 노린 증권투자의 비중이높고 상당부분 파생금융상품과 결합되어 투기성이 강해져 달러 폭락 등 외환시장의 불안정 요인이 되고 있다.

간접세(indirect tax) 조세부담이 전가되어 납세의무자와 담세자가 일치하지 않는 세금으로 현행 세제상 국세중 간접세에 해당하는 세금으로는 부가가치세, 주세, 인지세, 전화세 및 특별소비세 등이 있다. ⇔ 직접세


갈아타기작전 주식투자에서 얻어지는 대부분의 투자수익은 매매차익에 의해서 결정된다.이는 결국 상승잠재력이 많은 종목에 투자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만일 보유하고 있는 종목보다 상승잠재력이 높은 종목을 발견하였다면 보유주식을매도하고 상승잠재력이 풍부한 종목으로 전환하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갈아타기작전이라고 한다.

그러나 주가의 등락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갈아타기를 하면 자칫 판 종목의 주가는상승하고 산 종목의 주가는 오히려 크게 하락하여 더 큰 폭의 손실을 자초하는경우를 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으려면 시장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종목교체에 유리한시점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반적으로 보합이라든지 약세권에 있을 때오히려 갈아타기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투자격언에 "떨어지는 말이나 넘어지는 사람에게 손을 내밀지 말라"고 했다.영업실적이 부진하거나 사양산업일 때는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수 있지만기본적으로 늙은 주식이므로 주가의 상승폭은 그만큼 적을 수 밖에 없다.

그렇지만 성장산업이거나 새로운 수요가 확충되어 시설투자를 늘리고 있는 꿈이있는 주식은 주가의 상승여력이 충분한 젊은 주식이라고 할 수 있다.따라서 종목교체는 대체로 늙은 주식을 젊은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이어야 한다.

감가상각(減價償却, depreciation) 장기성 유형고정자산에 대해 자산가치의 감소분에 해당되는 금액을 기간별로 할당하는 방법으로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상각기금법, 생산량비례법 및 시간비례법 등이 있다.
감미료(sweetener)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증권에 부가하는 부대조건들을 말하는데, 발행조건이 좋지 못한 채권의 시장성을 확대하기 위해 첨부시키는 전환권이나 신주인수권 등이 있다.
감사의견(accountant's opinion) 재무제표에 나타난 표시의 공정성에 관한 공인회계사의 서면화된 인증으로 재무제표가 중요성의 관점에 있어서 정해진 기준에 부합되게 작성, 표시되었는가에 대한 의견이다.
감자(減資, reduction of capital) 자본금의 감소를 의미하며 회사재산을 감소시켜 그 감소분을 주주에게 분배상환하는 실질적 감자와 누적적자 등으로 자본이 잠식되어 회사재산이 자본금에 미달하는 경우 자본금의 결손을 보전하기 위한 형식적 감자로 나누어진다. 감자는 주식의 소각, 병합, 및 액면금액의 감소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증자
강세수직스프레드(bullish vertical spread) 기초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수직스프레드로 콜 또는 풋 옵션의 행사가격이 높은 옵션을 매도하고 낮은 옵션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 약세수직스프레드
강세수평스프레드(bullish horizontal spread) 기초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수평스프레드로 콜 또는 풋 옵션의 만기가 가까운 옵션을 매도하고 먼 옵션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cf. 수평스프레드
강형효율성(强形效率性, weak-form efficiency) 증권의 가격은 증권의 가치평가와 관련되어 공개된 모든 정보와 대부분의 사적정보를 완전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으로 효율적 시장가설에서 제기되는 가설의 하나다. cf. 효율적 시장가설
개발기관 산업 및 경제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장기대부자금의 공급을 주된 업무로 하는 금융기관으로서 우리나라에는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및 한국장기신용은행 등이 있다.
개방형 투자신탁(open-end investment trust) 투자자가 투자신탁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수익증권의 환매를 청구할 수 있는 투자신탁 형태 ⇔ 폐쇄형 투자신탁
개시증거금(initial margin) 고객이 새로운 선물거래 포지션을 취하거나 옵션을 발행할 때 중개회사에 납부해야 하는 증거금이다. ⇔ 유지증거금
개인투자가(individual investor) 금융기관 또는 준금융기관 등 법인의 자격으로 증권에 투자하는 기관투자가가 아닌 개인적 차원의 일반투자자 ⇔ 기관투자가

(gap) 봉차트를 살펴보면 주가가 어느 특정일에 갑자기 폭등하거나 폭락하므로써 주가와주가 사이에 빈 공간이 나타나는데, 이 빈 공간을 갭(gap)이라고 한다.

차트상에 갭이 발생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유지되어 오던 매도세와 매수세 사이의 균형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결과로, 앞으로 주식시장에 예기치 못한 변화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예고해 준다.

갭의 발생으로 어느 특정 가격대에서는 거래가 성립되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갭이발생한 가격대는 앞으로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상승추세에서 발생한 갭은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하며, 하락추세에서 발생한 갭은강력한 저항선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갭이 일단 채워지면 그 갭은 갭으로서 더 이상의의미가 없어진다.

갱신차금(更新差金) 선물가격의 변화에 따른 손익을 증거금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일의 미결제약정을 당일의 결제가격으로 재평가하여 산출한 차손익을 말한다. cf. 미결제약정

거래단위(trading unit) 주식이나 채권 및 선물, 옵션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기본단위를 말한다. 거래소는 거래상품을 상장시킬 때 적정한 규모의 물량을 단위화하고, 이를 기본단위로 하여 거래하도록 하는데 거래소시장의 경우 주식은 10주, 채권은 10만원, 그리고 선물과 옵션은 1계약을 거래단위로 한다. cf. round lot

거래량비율  (volume ratio) 그랜빌의 OBV선은 일정 기준일을 중심으로 거래상승일의 거래량과 주가하락일의거래량의 차를 구해서 누적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준의 선택방법에 따라수치의 튼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거 각 국면의 추세를 나타낼 수는 있지만 절대수치 그 자체만으로 시세를판단하거나 과거와 비교하긴는 어렵다.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누적차수가아닌 비율로 분석한 것이 거래량비율이다.

작성방법을 보면 일정기간 동안 주가상승일의 거래량과 주가하락일의 거래량과의백분율을 산출하면 된다. 보통 1개월(입회일수 25일간)의 주가상승일의 거래량합계를주가하락일의 거래량합계로 나눈다.이때 주가변동이 없는 날의 거래량은 반은 상승일에 반은 하락일에 더하면 된다.

volume ratio=(주가상승일의 거래량합계/주가하가일의 거래량합계 +변동이 없는 날 거래량 합계*0.5/변동이 없는 날 거래량 합계*0.5)*100

볼륨 레이쇼가 100% 수준이면 주가상승일의 거래량과 하락일의 거래량이 같을 때이고11%이면 주가상승일의 거래량이 10% 많을 때이며 90%이면 주가하가일의 거래량이10% 감소한 경우를 의미한다. 대체로 주가가 상승하는 날의 거래량은 주가가 하락한날의 거래량보다 많다.

따라서 볼륨 레이쇼가 150%일 경우 보통수준으로 보고 45%를 초과하면 주가의 경제신호,70%이면 바닥권으로 본다대량거래증권거래소 시장에서 대량의 주문이 나왔을 경우 이를 복수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로처리하면 업무가 번잡할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수급에 대한 균형이 깨져서 주가의 등락에도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량주문에 대한 처리방법을 제도화하고 있다.

대량매매의 요건은 이미 접수된 상대호가와의 매매거래를 체결시킨 이후에 잔여분이 1만 주이상이어야 하며 이미 행해진 호가보다 유리한 호가여야 한다. 대량매매가 접수되면5분간해당 종목의 매매거래가 중단되고 대량호가의 가격과 수량을 공개한 뒤 대량호가에대한상대호가만 접수하게 된다.

그리고 접수된 대량호가의 상대호가는 가격우선의 원칙에 따라 복수가격으로 체결하게 된다.만일 상대호가의 수량이 대량호가의 수량보다 많을 때는 최종 가격선상의 호가에 대해서는동시호가에 대한 수량배분 순위가 준용된다.

대량매매는 대체로 대주주지분이나 기관보유주식의 매매가 기업의 내용과는 별도록움직이는경향을 보이고 있어 특별한 호재나 악재와 연관된 경우가 거의 없다.

거래량지표 그랜빌은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 실체는 거래량이고 주가는 그의그림자에 불과하다"라고 했다. 이는 거래량이 점차 줄고 있는 상태로부터증가경향을 보이기 시작하면 앞으로 주가는 오를 것이 전망된다.

반대로 거래량이 점차 줄고 있으면 시장인기의 약세을 반영하여 향후 주가는다소 약세전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이런 거래량지표에는 거래량이동평균선, OBV, VR, 거래량회전율, 클라이맥스 지표, 변환지표 등이 있는데거래량 이동평균을 주로 활용한다.거래성립률거래성립률은 주가의 상승이나 하락과는 관계없이 거래가 성립된 종목이상장종목수와 비교해서 어느 정도의 비율인가를 산출해서 시장의 번한도를분석하는 기법이다.

개별종목과 전체종목에 다같이 이용될 수 있는데 매일 시장에서 거래가성립된 종목수를 전 상장종목수로 나누어서 65%가 되면 강세, 55% 이하면약세라고 판단한다.

거래성립률 = (거래성립 종목수/전 상장종목수)*100삼선전환법주가의 일정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일반적 속성을 이용하여, 주가 흐름을전환 시점을 자동적으로 파악 하고자 하는 투자 분석 기법이 삼선 전환법이다.

삼선 전환법에서는 주가의 흐름이 새로운 고가 또는 저가를 기록 할 때만 차트에 표시되는데, 상승의경우 흰색, 하락의 경우 흑색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상승에서 하락 또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차트가바뀌기 위해서는 직전 추세 3단계 이상의 전환이 일어나야 한다.

예를 들어, 주가가 세 번의 고가를기록하며 500원이 오른 다음 하락하는 경우, 삼선 전환 차트가 상승선에 하락 선으로바뀌기 위해서는하락 당일의 하락폭이 500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 차트는, 상승선에서 하락 선으로 바뀔 때가 매도 시점, 하락 선에서 상승선으로 바뀔 때가 매입시점을 의미하며, 다른 어떤 차트보다 분명한 매매 신호를 보여준다 하여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얻고있다.

그러나 아주 긴 상승선이나 하락 선이 나타난 경우에는 그 전환선이 만들어지기 어려워, 매매시점을 놓칠 우려가 있다.

거래량회전율 (turnover ratio) 유가증권 거래량의 기중 평균발행잔고에 대한 비율로서 시장성을 나타낸다고볼 수 있다.연간 거래량회전율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되며, 연간 몇 회전율로 표시된다.

연간 거래량회전율 = (연간거래량/(연초발행주식수+연말발행주식수/2))*100%
거래량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그 만큼 주식이 활황을 보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특히 업종별,종목별 거래량의 회전율은 그 당시의 인기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거래세 증권에 대한 소유권의 이전 또는 증여자산이나 상속자산 등의 소유권 이전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을 말한다.
거래소 매매방식 증권거래소의 시장에서는 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서로 대립된 관계에서유리한 조건으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거래소의입장에서 보면 공정한 거래형성과 신속한 매매체결을 위해서 일정한매매방식을 규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거래소의 매매방식은 복수의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에 거래되는 경쟁매매,단일의 매도자오 매수자 사이의 상대매매, 단일의 매도자 또는 매수자와복수의 매수자 또는 매도자 사이에 거래되는 경매형태로 구별된다.

우리나라는 경쟁매매를 원칙으로 하고 단일가격에 의한 경쟁매매(동시호가)와복수가격에 의한 경쟁매매(포스트 매매)로 대별하여 취급하고 있다.또한 경쟁매매를 체결시키는 매매원칙에는 가격 우선원칙, 시간우선원칙,수량우선원칙, 위탁매매 우선원칙의 네 가지 원칙이 적용된다.

가격 우선원칙은 저가의 매도호가는 고가의 매수호가에 우선하고 고사의매수호가는 저가의 매수호가에 우선하는 것이다. 시간 우선원칙은 동일한가격의 호가에 대해서는 먼저 접수된 시간순위에 따라 매매를 체결시키는원칙이다.

수량 우선원칙은 시간 우선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동시호가에서 적용되는 원칙으로동시호가가 형성되는 단일가격선상에서 수급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수량이 적은 수량에 우선하는 원칙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위탁매매 우선원칙은 증권회사의 자기 매매가 위탁매매에 우선할경우 빚어질 수 있는 부작용을 감안하여 고객 매매분을 우선적으로 매매시키려는원칙인 것이다.대용가격대용증권의 가격을 말하는 것으로 주식 및 채권의 대용가격은 기준시세에 일정비율을곱하여 계산한다. 증권 시장의 시황, 담보가치의 변동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경우에는 그 이하로도 할 수 있다.

한편 대용가격은 매월 1일부터 25일까지의 주가를 자중산술평균한 기준시세에거래형성 일수와 회전율을 근거로 하여 증권거래소가 월단위로 결정, 발표하고 있다.이 밖에 권리락, 배당락, 이자락, 원금일부 상환, 액면분할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하여시세가 대용가격에 미달하는 경우와 액면병합의 경우에 사유가 발생한 즉시 대용가격을정정하게 된다.소수주주권소수주주권이란, 대주주와 그 이익을 대표하는 지나친 이사의 행동을 억제하고, 주주전체의 이익을지키기 위해 소액 주주에게 주어진 권리를 말한다.

상법에 규정된 소수주주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5이상을 소유한 주주에게 인정된 권리로서 임시 주주총회 소집청구권 /이사 해임 청구권 / 이사 및 청산 인의 위법 행위 유지 청구권 / 대표 소송권 / 회계장부 열람권 / 감사인선임 청구권 등이 있다.

2. 발행 주식 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 주어지는 권리로는,회사 해산 판결청구권이 있고,

3. 발행 주식 총 수의 100분의 3이하의 주주에게 인정되는 권리로는 감사 선임 의결권이 있다.

거래원 (member firms) 증권거래소가 개설한 상설시장에서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를 할 수 있는 일정한자격을 갖춘 증권업자를 말한다. 이들은 증권거래소가 주식회사나 공영제 조직을채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회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거래원 또는 회원은 증권업자 중에서 독점적 상태에서 거래소시장의매매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거래소에 직접 매매를 주문할 수 있는권한이 주어지며 이에 따라서 거래소의 관리감독을 받아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다.

거래소의 정관, 업무규정, 수탁계약준칙, 기타업무에 관한 규정 및 이에 의한거래소의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대용증권주식매매시 위탁증거금이나 신용거래보증금을 납부함에 있어서 현금에 갈음할수 있는 유가증권과 증권관리위원회가 지정하는 채무증서를 말한다.

대용증권으로 저장할 수 있는 유가증권에는 거래소 및 장외시장에 상후 1개월이경과하고 과거 3개월간 월평균 거래실적이 상장주식수의 0.1% 이상인 주권 및출자증권, 모집 및 매출된 상장증권, 이미 지정된 주권의 신주, 국채 및 지방채권,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채권, 정부보증채권, 상장사채권, 수익증권등이 있다.

그러나 감리 및 관리대상종목이나 매매거래 정지종목(액면분할 및 병합으로 인한경우 제외), 증권업협회가 매매거래 정지조치를 취한 종목의 경우에는 대용증권에서 제외된다.

게이샤본드(Geisha bond) 유로채의 일종으로 일본에서 달러로 발행된 채권을 가리킨다. 쇼군본드라고도 한다. ☞ 쇼군본드
겐사끼시장(gensaki market) 일본의 환매조건부채권시장으로 현물거래와 선물거래가 혼합되어 있다는 뜻에서 現先市場이라고도 한다.
견질어음 담보로 맡겨진 어음으로 통상 유통시키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결정계수(決定係數,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표본으로부터 추정된 회귀선이 실제치에 대해 어느 정도의 대표성이 있는가에 대한 적합성을 보여주는 설명계수이다. 즉 관찰된 표본이 추정된 회귀선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회귀계수에 자승을 한 것으로 0과 1사이의 값을 가진다.
결제가격(決濟價格, clearing price) 선물거래에 있어서 일일정산을 위한 기준가격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다음날의 선물가격의 변동폭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당일의 종가가 결제가격이 된다. cf. 일일정산
결제소(clearing house) 증권거래소가 증권거래를 집행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거래대금의 결제나 증권의 이전과 배분 및 계약규정 준수의 보증 등을 관리한다.
겸업주의(universial banking) 하나의 금융기관이 여러가지 업무영역에 걸쳐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는 금융제도이다. 특히 상업은행업무와 투자은행업무가 동일한 금융기관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독일인데 전세계적으로 겸업주의를 지향하는 추세에 있다. ⇔ 전업주의
경과이자(accrued interest) 채권거래시 이자지급일이 채권매매일과 다름에 따라 이자계산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전기의 이자지급일과 당기의 이자지급일 사이에 채권이 거래되는 경우 전기의 이자지급일 다음날부터 채권매매일까지 경과한 일수에 따라 계산된 이자를 말한다.
경상수지(經常收支, balance of current) 재화 및 용역의 이동이라는 실물면에서 본 수지차의 개념으로 무역수지, 무역외수지 및 이전수지를 합한 것이다. 이는 국민경제의 경상적인 흐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상계정 또는 소득계정이라고 한다.
경상이익(經常利益, ordinary income) 경상적 수익과 경상적 비용만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이익으로 영업이익에 영업외수익을 가산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경영다각화(business diversification) 기업이 성장 또는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수단으로 새로운 능력을 개발하거나 현재의 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수직적 다각화, 수평적 다각화 또는 복합적 다각화를 시도하게 된다.
경영자매수(MBO, management buyout) 기업경영을 담당한 현 경영진이 경영의 안정 및 독립을 목적으로 자사를 매수하는 것인데, 외부로부터의 기업매수 공세에 대해 효과적인 방어책이 될 수 있다.

경쟁매매 (competitive bidding, aution) 증권매매 거래방식의 하나로서 다수의 매도측과 매수측이 상호경쟁에 의하여매매를 성립시키는 방법이다. 증권시장은 다수의 매도와 매수간에 매매되는것이므로 경쟁매매가 일반적인 거래방식이나 다수 관계자의 이해관계가엇갈리기 때문에 일정한 원칙이 필요하다.

저가의 매도호가는 고가의 매도호가에 우선하고 고가의 매수호가는 저가의매수호가에 우선한다는 가격우선의 원칙, 동일가격의 호가에 대하여는호가가 행하여진 시간의 선후에 따라 먼저 접수된 호가에 대하여는 호가가행하여진 시간의 선후에 따라 먼저 접수된 호가가 나중에 접수된 호가보다우선한다는 시간우선의 원칙,동시호가 매매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원칙으로서동일 가격선상에서 수급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수량이 많은 것이적은 것보다 우선한다는 수량 우선의 원칙 글고 고객이 제출한 위탁매매가증권회사의 자기매매에 우선한다는 위탁매매우선의 원칙 등이 있다.
경제력집중 소수의 개인이나 그 가족들이 실질적으로 소유·지배하는 기업집단이나 대규모 기업에 의해 국가의 경제적 자원 및 주요 산업 등 경제활동이 집중적으로 점유되는 상태를 말한다.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 국가 등의 단위경제에 있어서 재화 및 용역 생산의 증가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미국, 영국, 서독 등 24개 서방 주요 선진국들이 경제성장, 저개발국 지원 및 세계무역의 확대를 추구하기 위해 1961년 9월 30일 유럽경제협력기구(OEEC)를 발전적으로 해체하여 창설한 국제기구로 프랑스 파리에 사무국을 두고 있다.
경화(硬貨, hard currency) ① 외환보유고가 크고 국제수지 흑자기조를 유지하는 나라의 통화로 다른 통화에 대해 상대적 강세가 기대되는 통화 ⇔ 연화 ② 금, 은이나 철, 목재 등 단시간 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이 무역거래의 결제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에 쓰는 말
계약불이행(default) ① 선물이나 옵션 등의 거래에 있어 매도포지션을 갖고 있는 자가 인도일에 기초자산을 인도하지 못하는 경우 ② ☞ 채무불이행
계약형 투자신탁(contract type investment trust) 위탁자, 수익자 및 수탁자의 3자관계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투자신탁 형태로 단위형과 기금형으로 구분된다. 위탁자는 투자신탁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투자신탁회사이고, 수탁자는 위탁자와의 신탁계약에 따라 신탁재산을 보관하며, 수익자는 설정된 신탁계약으로부터의 수익권을 균등하게 분할한 수익증권의 소지인으로 투자자를 말한다. ⇔ 회사형 투자신탁
계열상관(serial correlation) ☞ 자기상관

계좌이체 (transfer account) 1978년 11월에 인가된 자동이체제도(ATM:automatic transfer system)의일종으로 사전에 포괄계약에 의해서 저축예금으로부터 요구불예금으로 이체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당좌계좌를 가진 자는 잔고를 초월하여 수표를 발행하지 않았나 하는 불안감을갖게 된다. 잔고부족이 발생하면 부도의 위험성이 있을 뿐 아니라 신용평점에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당좌예금구좌에 잔고부족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개의 저축성 예금계좌에서자동적으로 이체하여 지급하는 제도여서 저축성 예금의 요구불예금화로 저축성예금에서의 수익과 함께 요구불예금이 갖고 있는 환금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고객예탁금 (customer s deposit)  ☞ 예탁금.

증권회사가 유가증권의 매매거래 등과 관련하여 고객으로부터 받아 일시보관중인 예수금을 말한다. 위탁자 예수금, 청약자 예수금, 저축자 예수금,환매조건부 예수금, 신용거래계좌 설정보증금, 신용거래 보증금 등이 있다.
증권회사는 고객예탁금 전액을 현금 또는 예금으로 보유해야 하지만 증권회사는예탁금의 1/2 범위내에서 신용고여의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정증권,외국환 평형기금채권,통화안정증권 및 통화채권, 투자신탁수익증권의 인수, 매입재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고객예탁금은항상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다만 지방점포의 고객예탁금을 예금으로 보유할 경우에는 당해 지역의 은행점포에 예치해야 하며 증권회사는 고객 예탁금의반환 등 고객의 요구에 응하기위하여 이용료를 지급해야 하며 고객예탁금의 10% 이상은 고객예탁금 번환준비금으로 보유해야 한다.

고객예탁금 반환준비금  고객의 고객예탁금 반환 등의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증권회사가 보유해야 하는준비금으로 준비기준은 위탁자 예수금, 저축자 예수금, 자기신용융자, 대주담보금,수입담보금 합계의10%이다.

준비방법은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는 전월 16일부터 말일까지의 일평균 준비기준에준비율을 곱한 금액 이상을 매월 16일부터 말일까지는 당월 1일부터 15일까지의일평균 준비기준에 준비율을 곱한 금액 이상을 한국증권금융(주)에 예치하도록 되어있다.간접증권금융자산 중에서 금융기관을 발행하는 금융중개기관 자신에 대한 청구권으로표시하는 증서를 말한다.

자금공여자로부터 자금차입자에로의 저축의 이전 및 자금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적자주체는 채권증서를 발행하고 흑자주체는 실물자산 혹은 화폐와의 교환에 따른청구권을 취득하게 된다.

이때 채권증서를 본원적 증권이라고 한다. 결국 금융의 중개에 있어 금융기관은적자주체로부터 본원적 증권을 매입하고 흑자주체에 대해서 중개기관 자신에 대한청구권을 발행하여 양자를 중개시킨다.

이때 청구권이 증서로 표시된 것을 간접증권이라고 한다. 금융중개기관은 은행이외에도 보험회사, 투자신탁 등을 포함하고 간접증권은 은행예금, 보험증권,투자신탁 수익증권을 포함하는 것이다.거품현상실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그것은 많은 사람들의 투기를유발하여 가격상승이 지속되지만 이윽고 거품이 터지는 것처럼 급격히 원래의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금융시장에서는 파생상품이 늘어나고 환율, 원자재 가격, 금리, 주가 등 가격변수들이 급등락을 거듭하면서 각종분야에 거품현상이 자주 일어나서 투기가 성행하게되고 이에 따라 금융기관이나 기업이 도산하는 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고객예탁금 이용료 증권회사가 고객예탁금을 사용하는 대가로 고객에게 지급하는 이용료로서1997년부터 고객예탁금이용료에 대한 자유화가 발표되어 증권회사별로각각 차별화되어 있다.

지급방법은 이용료 지급대상 예탁금의 일평균 잔고를 기준으로 매 3개월마다계산하여 지급하는데 단 일평균 잔고가 1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이용료를지급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각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되었다.

고객예탁금과 주가 고객예탁금이란 투자자가 주식을 사기 위해 증권회사에 맡겨 놓은 돈이나 주식을매도한 후 인출하지 않은 돈으로 대체로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서 대기하고 있는돈이라는 개념으로 주요한 주가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즉 고객예탁금은 주가를 결정짓는 수요의 중요한 지표로서 고객예탁금이 증가하면주식의 수요세력들이 적극적으로 주식시장에 유입되고 있다는 증좌로 볼 수 있다.반대로 고객예탁금이 유출되는 것은 향후 주가전망을 비관적으로 보고 빠져나가는것이므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증권회사는 고객예탁금의 이율이 주변에 있는 금융상품(BMF나 환매체)보다 이율이 낮아 장기간 주식시장이 침체할 경우 서서히 유출되는 특성이 있으며오히려 주가가 상승하면 늘어나는 후행적인 지표로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관투자가들이 큰 폭으로 매수를 하면 사대적으로 개인투자자들은 매도하여현금보유가 일시적으로 늘어나는 경우도 많아 실제로 주가를 예측하는 지표로서의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다만 보조적인 지표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고유위험(unique risk) 개별증권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자산가치의 변동위험으로 포트폴리오의 구성을 통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전체위험을 축소시킬 수 있는데. 이때 축소가능한 위험을 말한다. 비체계적위험이라고도 한다. ⇔ 시장위험

고정부채 (fixed liability) 유동부채 이외의 부채를 말하는 것으로 결산일 또는 대차대조표일로부터 기산하여지급기한이 1년 이내에 도래하지 않는 부채를 말한다.

고정부채에 속하는 항목으로 사채, 장기차입금, 관계회사의 장기차입금, 토직급여충당금, 특별수선충당금 등 장기적 부채서 충당금과 주주, 임원, 종업원으로부터의장기차입금이 있다.

고정부채는 기업의 재정상태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자기자본과 함께 장기적인고정자금의 원천을 표시하는 중요한 항목이 되고 있다.

고정자산(fixed assets) 유동성 기준에 따라 자산을 분류할 때, 원칙적으로 현금자산으로 유동화되는 데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말하는데, 건물, 토지 및 기계설비 등이 있다. ⇔ 유동자산

고정자산 구성비율 (fixed asset ratio) 총자산에서 고정자산이 차지하는 비율 ⇔ 유동비율. 고정자산 구성비율이란 고정자산이 총자산 중에서 차지하는 백분비율을 산출한것이다. 따라서 고정자산 대 총자산의 비율을 말한다. 이것은 자기자본에 대한고정자산의 비율, 즉 고정비율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고정비율 = 고정자산/자기자본 *100

고정자산은 기업 내부에서 오랫동안 경영수단으로 계속 쓰일 자산이므로 이에투하될 자금도 안심하고 오랜 기간을 쓸 수 있는 자기자본 같은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비율이 100% 이상이면 자기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타인자본의일부가 고정자산에 투자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자본이 부족하여 고정부채까지 고정자산에 투입되는 관계를 표명하는 지표에고정 장기적합률이 있다.

고정장기적합률 = 고정자산 + 고정부채/자기자본*100

고정형 투자신탁 포트폴리오 구성이 일단 완료되면 신탁기간동안 운용자의 의사대로 자유롭게 매매할 수 없는 투자신탁을 말한다.
고정환율제도(fixed exchange rate system) ① 금본위제도 하에서 금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각국 통화의 가치를 평가하여 미국의 달러화에 대한 환율을 결정함으로써 환율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제도로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자국통화의 환율을 상하 1% 범위 내에서 움직이게 한다. cf. 금본위제도 ② 상대통화에 대해 자국 통화의 가치를 고정시켜 환율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도 ⇔ 변동환율제도

골드뱅킹(gold banking) 은행이 고객들을 상대로 금을 사고파는 것을 말한다. 금화나 금괴 등 금을 직접사고파는 방식과 금 통장, 금 증서 등으로 금을 주고받지 않고 증서상으로 거래한후에 투자이익과 원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이 있다.

금괴및 금화가 부동산이나 증권못지않게 매력이 있는 투자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가운데 은행에서도 이들을 팔고사는 업무가 실시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골든패러슈트(golden parachute) ☞ 황금낙하산

골든크로스(Golden Cross) 단기이동선이 중장기이동선을 아래로부터 상향 돌파할 때 골든크로스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골든크로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강세시장으로의 전환신호로 해석되어 매수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주가는 이보다 먼저 상승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골든크로스가 발생한 이후에 하락하는 경우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공개매수(tender offer) 공개매수란 어떤 회사의 지배권을 행사할 목적으로 미리 매수기간,매수가격등을 매수조건으로 공시하여 유가증권 시장 외에서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주식 등을 매수하는 것을 말한다.

공개매수는 기본적으로 회사의 기존 경영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절차로도입된 것이나 외국법과 달리 주식의 대량 소유를 제한하는 제도를 두고 있는우리 나라에서는 <증권거래법>에 공개매수를 주식의 대량 소유제한의 예외규정으로 인정하고 있다.

<증권거래법>에서는 "불특성 다수인을 상대로 일정한 유가증권을 유가증권시장외에서 매수의 청약을 하거나 매도의청약을 권유하여 유가증권을 매수하는 것"으로정의하고 있다.

또한 공개매수에 관련하여 제반 내용을 공시하도록 하는 공개매수 신고서제도를채택하여 일정한 내용에 대한 공시의무를 부여하고 매수대상 유가증권의 발행인에게 공개매수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투자자 보호조치가요구된다.간접공시간접공시는 상장법인이 증권거래소에 신고한 기업내용을 증권거래소가당해 상장법인을 대신하여 공시하는 것으로서 규정상 간접공시 사항일지라도당해 기업이 원하며 또한 간접공시할 경우 시간적 지연으로 공정한 주가형성이저해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직접공시방법으로 공시할 수 있다.

간접공시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며 직접공시방법으로 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문서로 제출하여야 한다.증권거래소는 간접공시사항을 접수하면 당일 증권정보문의 단말기에 입력하여즉시 공시하고 동일자 증권시장지에 게재하여 공시한다.

간접공시사항은 직접공시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 기업경영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투자판단자료로서 유용한 사항을 말하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사업목적의 변경에관한 이사회 의결, 자본금 100분의 20이상에 해당하는 특허권 침해, 재산반환등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이 제기된 때, 자본금 100분의 20 이상에 상당하는타법인 출자 또는 출자자본의 처분에 관한 이사회의 의결, 자본금 100분의30이상에 해당하는 부동산 취득 또는 처분에 관한 계약체결, 자본금 100분의20이상에 해당하는 벌금, 과태료, 추징금 등을 부과받았을 때 등으로 되어 있다.

① 특정기업을 인수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기관이 인수대상기업의 주주들에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주식에 대해 일정기간동안 미리 지정한 가격으로 일정한 수량을 매수하겠다고 직접 제의하는 것 ② 특정기업의 대주주가 감자나 합병 등 주주의 이해관계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정책에 대해 반대의사를 가진 소액주주들에 대해 일정기간동안 미리 지정한 가격으로 무제한 매수하겠다고 제의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control) 중앙은행이 증권시장에서 국공채 등 유가증권을 매입 또는 매각함으로써 통화량을 조절하고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수단이다.
공매(空賣, short sale) 보유하고 있지 않은 증권을 차입하여 매도하는 증권거래 형태로 실무적으로는 대주(貸株)라고 한다. 증권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실제로 가격이 하락하면 매도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수하여 상환하고 차익을 실현한다.
공모(公募, public placement) 증권의 발행 및 매출에 있어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공개적인 모집절차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 사모

공모발행(capital increase by public offerings) 유가증권의 발행자가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균일한 조건아래에유가증권을 발행,모집하는 것을 말한다.
공모발행의 경우에는 발행회사가 직접 행하는 직접발행과 증권회사 등의 추급또는 인수에 의해 행하여지는 간접모집, 증권회사가 일단 총액을 인수하고그 후에 일반대중에게 전매하는 총액인수방식이 있다.

공모는 일반적으로 발행위험도 크고 사무절차도 복잡하므로 증권발행을전무기관에 일임하는 간접발행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보통이다.공모증자의 경우에는 신규로 주식을 발행함에 있어서 일반대중으로부터 발행유가증권의 응모를 받아서 하는 증자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종전에는 기업공개에서만 유가증권의 공모방식으로이용되었으나 시가발행제도가 처움으로 도입된 1983년 이후에는상장법인이 시가발행에 의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신주의 공모방법도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동시호가동시호가란 접수된 호가순서나 시간의 전후가 분명치 않아 매매처리과정에서 시간우선원칙을배제시키고 가격과 수량우선원칙만을 적용하여 단일가격으로 매매를 체결시키는 방식이다.

매매입회가 개시된 후 5분간 접수된 호가 또는 매매가 중단된 후 일정한 시간내에 접수된 호가그리고 매매입회 종료 전 5분간 접수된 호가에 의해서 매매를 체결할 때는 동시호가의 원칙이 적용된다.동시호가의 매매체결 방식을 살펴보면 매도호가의 합계수량과 매수호가의 합계수량이일정한 가격또는 그 이하의 가격에서 매매가 성립된다.

즉 동시호가의 거래에서는 가격우선원칙이 적용되고 난 후 다음과 같은 수량에 의해서각 거래원별로주문결과가 배정하게 된다.

매매수량의 단위(기본수량인 10주), 매매수량 단위의 30배(300주), 매매수량의 100배(1000주),나머지 수량의 2분의 1(매매수량 단위 미만은 매수량 단위로 절상), 나머지 수량으로되어 있다.동시호가는 단일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량의 매도나 물량확보를 위해서 많이 활용한다.공매도주식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사용하지 않고 타인으로부터 주식을 빌려서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보고차익을 얻기 위해서 매도하는 것을 공매도 또는 대주라고 한다.

공매도에는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 자가 주가하락을 예상하여 싼 값에 매입하여차익을 얻기 위한 공매도와 자기 보유주식의 주가하락에서 오는 손실을보전하기 위한 공매도가 있다.

공매도의 담보는 주식의 매도대금이며 증권회사는 주식매도대금에 대한 이자를감안하여 대주이용료를 오히려 고매도자에게 지급하고 있다.

공시(disclosure) 기업의 재무상태와 영업실적에 대한 재무제표의 발표 등 정기공시와 업황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수시공시 등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과 관련한 정보를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것을 말한다.

증권시장에서의 주식투자는 다른 저축수단과는 달리 기업에 대한 각종 정보를바탕으로 투자의사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투자자의 현명한 투자의사를결정시키기 위해서 발행회사의 경영상태나 재무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이로써 증권시장에서의 공정한 가격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릇된 정보나 루머에 의해서 주식의 가격이 결정되고 올바른 정보는일부세력이 독점하게 되면 결국 주식의 가격형성은 왜곡을 가져와 주식시장은투기경향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법>이나 <증권거래법>에 의해서 기업공시에 대한 각종 제도를마련하고 증권거래소가 직접 나서서 기업내용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증권거래소의 기업공시 내용은 정기적인 공시, 수시 공시, 풍문조회 등으로구분된다.

정기적인 공시란 증권거래소가 상자오히사에 대한 기업공시실을 마련하여신주를 발행할 때는 제출된 유가증권 신고서, 사업설명서, 유가증권 발행실적보고서와 함께 매결산기마다 제출된 재무제표, 반기 결산보고서 등을 비치하여열람하게 하는 제도이다.

수시공시란 상장회사에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영업활동의 정지, 법인의정리절차에 대한 신청이나 개세, 사업목적의 변경, 기타 경영에 중대한 영행을미치는 사항이 발생하였을 때는 발행회사는 즉시 전화 또는 문서로써 증권거래소에신고하도록 되어 있고 이를 상장회사의 공시책임자가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증권시장 주변에 나도는 여러가지 풍문사항을 증권거래소가 직접 조회하여 이를공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공칭자본제도(公稱資本制度 subscribed capital system) 주식회사의 설립시에 정관에 기재된, 발행해야 할 주식의 총수를 발행하고 주권의 대금을 분할납입하는 방법으로 분할납입제도라고도 한다. ⇔ 수권자본제도
과거변동성 ☞ 역사적 변동성
과세표준(tax base) 과세대상이 되는 표준금액. 소득세의 경우 소득공제금액을 차감한 잔여금액으로 순수한 과세대상금액을 말한다.

관리변동환율제도(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의 중간 형태로 각국의 외환당국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서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하여 환율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IMF체제가 변동환율제로 이행한 이후 지배적인 환율제도였다.

관리형 투자신탁 기금운용자의 판단에 의거하여 포트폴리오 구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투자신탁을 말한다. 시장여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 기업 내부자들의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회계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1947년 23개국이 조인하여 1948년 1월부터 발효된 국제무역기구로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2차 세계대전 후 국제무역의 기본질서를 규정한 국가간 협정으로 자유무역과 공정무역을 기치로 세계무역의 확대에 큰 역할을 했고 1990년대에 들어와 우루과이라운드의 타결로 WTO체제로 대체되었다.
관세장벽(tariffs barrier)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관세장벽으로는 탄력관세제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계관세, 보복관세, 반덤핑관세, 긴급관세, 물가평형관세 및 관세할당제도 등이 여기에 속한다. ⇔ 비관세장벽
교차헤징(cross hedging) 현물상품의 가격변동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선택된 선물계약의 기초상품이 현물상품과 다른 경우의 헤징

교차환율(cross rate) A, B 두 통화간의 환율과 B, C 두 통화간의 환율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출된 A통화와 C통화간의 환율
교환사채(exchangeable bond) 사채 소지인에 대해 사전에 합의된 조건에 따라 소정기간 내에 다른 유가증권으로의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즉, 교환권이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구제금융 지급불능에 처했거나 또는 지급불능이 예견되는 상태에서 채권자가 추가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제공하는 금융을 의미한다.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s) 일정기간동안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GNP = GDP + 해외수취요소소득 - 해외지불요소소득)
국민소득(NI, National Income) 임금, 이자 및 지대에 이윤을 합한 것으로 이윤은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에서 임금, 이자 및 지대를 빼고 다시 감가상각과 순간접세를 공제한 잔여소득이다.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s) 일정기간 동안 자국민에 의하여 생산된 모든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생산요소시장에서 각 요소가 받는 요소소득을 합계하여 국민소득을 계산하고 여기에 순간접세와 감가상각을 합하여 산출한 GNP가 국민총소득이다. 분배국민소득이라고도 한다.
국제결제은행(BIS, 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 유럽내 지불협정, 유럽결제동맹 또는 유럽통화협정 등 OECD 내에 결성된 각종 협정의 실무기관으로서의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은행경영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국가간 경쟁조건의 공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1987년에는 총자산에 대한 자기자본규제비율(BIS비율)에 관한 국제적 통일기준을 설정하여 운용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국제금융공사(IFC,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세계은행의 산하기구로 1956년에 설립되었는데 개도국의 민간기업에 자본참여나 차관을 제공하는 것을 주임무로 한다. IFC가 제공하는 차관자금은 그 조건이 일반 산업자금보다는 차입자 쪽에 유리하지만 일단 궤도에 오른 사업에 대해서는 상업성이 유지되는 수준에서 차관조건이 결정된다.
국제금융센터(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 국제금융업무를 취급하는 금융기관들이 집결되어 있는 지역을 말한다. 국제적 통신망, 지리적 이점 및 풍부한 금융인력 등이 그 요건이 된다. 뉴욕과 같은 전통적인 국제금융센터, 런던과 같이 훌륭한 금융시설과 기법을 갖춘 중개금융센터 및 동경, 싱가폴 및 홍콩 등 비거주자 간의 금융거래를 중개해주는 역외금융센터가 있다.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International Bank of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1944년의 브레튼우즈 협정에 따라 1946년 IMF의 자매은행으로 설립되었다. 국제적인 개발금융기관의 효시로서 전후 가맹국에 대한 경제부흥 지원과 개발도상국에 대한 장기저리개발자금 지원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이라고도 한다.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 국가간의 화폐지불의 흐름으로 재화와 용역만을 포함하는 경상수지에 해외직접투자 및 대출과 차입 등의 자본거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환율의 결정에 있어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수출기업 또는 해외에 투자자산을 보유한 기업의 기업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민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된다.
국제채(international bond) 채권 발행자의 국적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행되는 채권으로 채권의 표시통화가 채권이 발행되는 국가의 통화인지 또는 아닌지에 따라 각각 외국채(foreign bond)와 유로채(Euro bond)로 나뉜다.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브레튼우즈협정에 의해 1947년 설립된 국제통화기구로 국제금융에 있어서 각국이 상호협조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만성적인 적자국 또는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국가에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유동성을 제공하며 각국 외환제도를 자유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국제포트폴리오 여러 국가의 증권시장에 걸쳐 국제적으로 구성된 자산(특히, 증권)의 집합이다. 국제간에는 국민경제적 특성이 다양함에 따라 국내에 비해 보유자산 수익률의 상관관계가 보다 낮으므로 국제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분산투자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국내 포트폴리오에 비해 포트폴리오 채용종목수가 다소 작아도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하다.
국제피셔효과(international Fisher effect) 두 나라 사이의 금리차이와 환율 변동의 균형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표시통화만 다르고 위험과 만기가 동일한 금융상품간의 금리차이는 두 통화간 환율의 기대변동률과 같다는 것이다.
국책은행 국가가 정책금융을 위해 직접 출자하여 운영하는 은행으로 일반적으로 은행이라기 보다는 개발기관으로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권리락(ex-rights, rights off) 상장회사가 증자를 하는 경우에 신주인수권을 확정하기위하여 신주배정기준일을 정하는데, 이때 그 기준일의 익일이후에 결제되는 주권에는 신주인수권이 없어지는 것을말한다.  ⇔ 권리부

따라서 거래소에서는 배당락시와 마찬가지로 신주배정기준일 전일에 실제로 당해종목에 권리락 조치를 취함으로써 주가가 합리적으로 형성되도록 관리한다.

즉, 신주배정기준일 이틀 전까지가 권리부가 되어 신주인수권을 가진다.
권리락일(ex-rights day) 권리락이 적용되는 첫 거래일
권리부(cum rights) 어떤 주식에 대해 이미 공표는 되었으나 아직 발생하지 않은 자산분배의 청구권이 첨부된 상태로 청구권의 소유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주식의 매매와 함께 권리도 이전된다. ⇔ 권리락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규모가 클수록 경제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장기적 생산에 있어서 모든 생산요소를 동일한 비율로 늘려갈 때, 생산요소의 증가율보다 산출량이 더 큰 비율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업의 경우 규모효과(size effect)로 나타난다.
균형이자율(equilibrium rate of interest) 자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는 상태 즉, 시장균형 하에서의 이자율을 말하며, 시장이 균형일 때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경제주체들의 효용이 극대화된다고 한다.
그린메일(green mail) 특정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권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주식을 매집하여 목표기업의 지배주주로 하여금 기업의 피인수를 방어하기 위해 매집한 주식을 고가로 매입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인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린메일러의 주목적은 프리미엄의 획득에 있다. 공갈(blackmail)을 풍자한 말로 '그린(green)'은 달러화 지폐가 초록색임을 의미한다.

근로자 장기저축 근로자가 연간 급여액 중 600만원의 범위내에서 불입하는 계약기간 3년 이강증권저축으로서 <증권거래법> 제 50조의 규정에 의한 증권저축을 말한다.
이 경우 연간 급여액은 근로자 장기증권 저축계약을 체결하는 당시의 월정액급여를 연간으로 환산한 금액을 말한다.(<조세감면법> 시행령 제2조 제6항)

근로소득 용역을 제공한 데 대한 보상으로 개인이 획득한 소득이다. 세제상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 등의 비근로소득과는 구분된다.
근월물(nearby month contract) 동일한 기초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선물이나 옵션중 현재시점에서 최종결제일이 상대적으로 가까운 결제월의 종목 ⇔ 원월물
글래스-스티걸법(Glass-Steagall Act) 1933년에 제정된, 미국의 금융관계 법률로 은행과 증권회사간의 업무영역을 구분하여 금융의 분업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금리 변동과 주가 금리와 주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즉 주식과 채권의 금융자산간 대체, 보완관계에 있으며 금리상승은 기업의금융비용을 추가시켜 영업수지에 부의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1966년-1984년의 20년간 금융긴축시기는 네 번, 금융완화시기가 네 번있었는데 금융완화기에는 주가가 평균 두 배 이상 상승세를 보인 반면에 긴축기에는오히려 하락하였다.

오일 쇼크 등 경제혼란기에는 금리하락이 주가상승과 연결되지 않은 혼조를 보였다.미국의 경우에는 금리와 주가의 역상관관계가 뚜렷이 나타나는 가운데 시장금리인회사채수익률이 정점에 도달하면 그때부너 주가는 바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금리변동이 인플레이션의 정도, 경기의 호,불황 정도, 경제체질 등에 따라 때로는경기 역행적으로 작용하여 경제 각 부분에 미치는 여행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 금리(이자율)를 매매대상으로 하는 선물거래이다. 실제로는 금리 자체를 매매할 수가 없으므로 금리가 변동함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채권, 예금, CD 또는 CP 등의 금리상품에 대해 미래의 일정한 시점에 약정수량을 약정한 가격으로 인도·인수한다는 계약을 거래하는 것이다.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고정금리 차입을 변동금리로 교환하거나 변동금리 차입을 고정금리로 교환하는거래를 말한다.

전형적인 금리 스왑의 구조를 살펴보면 조만간 금리가 상승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은행에서 변동금리로 100억원을 빌린 기업 A는 그대로 두면 이자지급액이 늘어나게된다.

따라서 변동금리(통상 런던 은행간 거래금리 = LIBOR를 이용)를 받고 고정금리(예를 들면 4%)를 지급하는 스왑 거래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은행으로부터 빌린 자금에 대한 변동금리 이자지급액을 스왑의변동금리 이자수입으로 상쇄시켜 은행에서 빌린 원금과 스왑 업자에게 지급하는고정금리만 남게 되어 이 기업은 실질적으로 4%의 고정금리로 자금을 조달한 것과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금리가 5% 올라도 이자지급은 4%로 고정된다.금리의 만기구조모든 시장금리는 채무증서의 여러 가지 특성, 즉 만기까지의 잔존가간, 부도위험,자본손실의 위험, 중도상환 조건, 조세특례 등에 따라 가격격차를 보인다.

금리의 기간구조란 이런 특성 가운데 만기까지의 잔존기간 이외에는 채무증서가서로 동질적이라는 가정 아래 만기까지의 수익률과 잔존기간 사이의 함수적 관계를가리키는 말이다.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 일정한 중량의 금에 연계하여 화폐의 가치를 결정하는 제도로 1880년경부터 1914년까지 운영되었다. 각 통화에 함유된 금의 표준함량을 결정하고 금과 화폐간의 등가를 성립시켜 무제한적인 금태환을 인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통화간의 환율 또한 고정되었다.
금융결제원 1986년 6월 전국어음교환관리소와 은행지로관리소를 통합하여 발족한 기관으로 주요업무는 어음교환소의 설치 및 운영, 은행지로업무, 금융전산망 구축 및 운영을 위해 금융전산위원회가 위탁하는 업무, 금융기관의 전산업무 지원 또는 대행, 금융기관 콜거래실과 내국신용장 어음교환실의 설치 및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다.
금융리스(financial lease) 임대자는 리스설비 구입에 대한 자금만을 제공하고 임차인이 임차자산의 유지 및 보수를 책임지는 형태의 리스로 자본리스(capital lease)라고도 한다.
금융선물(financial futures) 선물거래의 기초상품이 금융상품인 경우로 기초상품에 따라 금리선물, 통화선물(외환선물) 및 주가지수선물 등이 있다. 옵션이나 선물옵션 등을 포함하는, 넓은 뜻을 의미하기도 한다.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우리나라 통화신용정책의 기본방향과 운영방침 등을 결정하는 최고의 정책기구로 일반은행에 대한 최종적인 감독기관인 동시에 한국은행의 업무,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지시감독기관이다.
금전신탁 수탁자가 금전으로 수입한 신탁재산을 적절한 투자대상에 투자하여 운용하고 만기 또는 위탁자의 청구에 따라 금전 또는 기타의 형태로 상환하는 신탁이다. ⇔ 금전외신탁
금전외신탁 신탁계약 당시의 신탁재산이 금전 이외의 재산인 경우로 증권투자신탁, 유가증권신탁, 부동산신탁, 금전채권신탁, 공익신탁 및 담보부사채신탁 등이 있다. ⇔ 금전신탁
기간수익률 ☞ 보유기간수익률
기관투자가(institutional investor) 대규모의 자금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증권투자 활동을 하는 금융기관 또는 준금융기관으로 증권회사, 투자신탁회사, 보험회사, 은행, 종합금융회사, 상호신용금고 및 연금기금 등이 있다. ⇔ 개인투자가
기금형 투자신탁(fund type investment trust) 증권투자신탁에서 투자신탁펀드를 단위별 구분없이 전체 펀드를 하나의 기금으로 하여 수익증권을 발행하는 형태로 추가형이라고도 한다. ⇔ 단위형 투자신탁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 개별자산 또는 포트폴리오로부터 기대되는 수익률로서 미래에 발생가능한 여러 상태의 수익률에 그 발생가능성(확률)을 곱하여 합한 값이다.
기대위험(expected risk) 미래에 발생할 불확실한 현금흐름에 대해 각 상태별 현금흐름을 예측하여 그 평균으로부터 구한 분산 값을 말함.
기명주(registered stock) 주권 및 주주명부에 주주의 성명이 기재되는 주식 ⇔ 무기명주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 증권투자에 있어서 기업의 자산가치, 이익가치, 기술력, 신용상태 및 평판 등의 기본적 요소를 중심으로 개별기업이 발행한 증권의 내재가치를 평가하는 분석방법을 말한다.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 및 증권분석으로 나누어진다. 기본적 분석은 개별증권의 시장가격과 내재가치를 비교평가하여 그 결과를 투자의사결정에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증권의 분석에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분석과 기술적인 분석으로 구분된다.기본적인 분석은 증권의 내재가치를 산출하는데 초점을 집중시키는 것이고,기술적인 분석은 내재 결정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요인들보다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흐름을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하려고 한다.

기술적인 분석이란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며 수요와공급을 기본적으로 중시하는 기본적인 변수 이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시장에서의 인기도, 기타 시장분위기 등과 같이 측정불가능한 요인까지도반영되고 형성되기 때문에 주가를 가장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가와 거래량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적인 분석가들은 주가 자체 또는 거래활동 등을 계량,도표화하여그것으로부터 과거의 일정한 패턴이나 추세를 찾아내고 이패턴을 이용하여주가의 변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결국 기술적인 분석은 다른 방법보닫 매매시점포착에 중점을 준 증권분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은 가정에서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증권의 시잗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2.수요와 공급은 수없이 많은 이성적, 비이성적 요인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3.시장의 사소한 변동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주가는 지속되는 추세에 따라 상당기간동안 움직이는경향이 있다.
4.장세의 변화는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의해 일어난다.
5.수요와 공급의 변동은 그 발생이유에 상관없이 시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표에의하여 곧 추적될 수 있다.
6.도표에 나타나는 몇 가지 주가모형은 스스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기업공개기업공개란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일반대중에게 널리 분산하고 재무내용을공시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주식회사 체제를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형식적으로는 주식회사가 주식을 일반대중에게 분산시킴으로써 기업공개요건을 갖추는 것을 의미하나 실질적으로는 소수의 대주주가 소유한 주식을일반대중에게 분산시켜 증권시장을 통하여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기업자금조달의 원활화를 기하고 자본과 경영을 분리하여 경영합리화를 도모하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 기업공개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면 공개 전 실시한유무상증자가 소위 물타기란 이름으로 비난을 받고 있는 소위 뻥튀기가 발생하여발행가격을 높게 책정하여 일반투자자들이 피해을 입게된다.

또한 기업공개 전 유상증자 실시와 동시에 대주주가 실권하고 제3자 배정을가능하게 하여 증여 또는 상속세를 회피할 가능성은 윤리적 측면에서 검토할문제이다.

또한 기업주가 재무제표 등을 분석하여 공개시키고 본인은 기업의 경영에서완전히 손을 떼는 수단으로 기업공개를 악용할 소지가 있다.  ⇔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의 정의 기술적 분석기법이란 주가변동의 원인을 알려고 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된결과로 나타나는 주가 그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미래의 주가변동을 예측하려는 기법이다.

즉 주가변동의 예측을 위해,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보다는 그 외부요인으로부터나타나는 주가 그 자체를 분석한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의 목적은 주식의 매매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과거의 주가흐름과그 습성을파악해서 정형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주가를 예측하고자 하는 데 있다.

기술적 지급불능(technical insolvency) 자금관리능력의 부족 또는 오류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에 직면하여 채무지급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기업개선(workout) 부실화되었으나 회생의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해 채권금융기관들이 구조개선 노력 등 구체적인 협약에 따라 조건부로 협조금융을 통해 별도관리하여 기업의 회생을 도모하는 것
기업공개(business disclosure) 대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일부를 공모 등의 방법으로 일반투자자들에게 매각하여 다수의 주주들에 의해 기업의 소유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소유의 분산은 기업상장에 있어 중요한 요건이 되고 상장을 위한 절차로 기업을 공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업공개는 상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업구조재편(restructuring) 기업의 자산구조, 소유권구조 및 자본구조 등을 재편하기 위한 여러가지 활동으로서 넓은 의미로는 기업인수 및 합병을 포함한다. 자산구조의 재편은 자산매각, 자회사 공개, 기업분할 및 합작투자 등의 방법으로 행해진다. 소유권 및 자본구조를 재편하기 위해서는 사업교환, 자사주 매입, 자본재편 및 차입매수 등이 활용된다.

기업분할(split-up) 일련의 분리신설(spin-off)을 통해 하나의 회사를 여러 개로 분할하는 것
기업어음(CP, commercial paper) 신용상태가 양호한 우량기업이 실제 상거래와 관계없이 단기운전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무담보부 무보증부로 발행하는 융통어음

기업연합(concern) 기업결합의 한 방법으로서 참가기업이 법률적으로는 독립성을 유지하지만 경제적으로는 금융형 또는 산업형으로 결합되어 특정기업의 지배를 받게 된다.
기업인수(takeover) 특정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는 데 충분한 지분을 취득하는 것으로 적대적 매수와 우호적 매수에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적대적 기업인수는 주로 공개매수를 통해 시도되지만 합병제의, 공개시장에서의 주식매집, 위임장투쟁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기업인수제의(TOB, takeover bid) 특정기업에 대해 인수(매수 또는 합병)를 제의 내지 시도하는 것.
기업제휴(cartel) 동일 업종 또는 동일 생산단계나 유통단계에 속하는 기업들이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그 활동을 제한하거나 공조하기로 하는 계약 또는 협정으로 가장 기본적인 기업결합 형태다. 참가기업의 법적, 경제적 독립성이 유지되며, 참가기업수가 많을수록 강력한 결합이 된다.
기업합동(trust) 2개 이상의 기업이 특정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여 이익을 확대할 목적으로 서로 합병하여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는 기업결합의 형태로서 참가기업들은 법률적·경제적 독립성을 상실하고 새로운 신설기업에 모두 흡수되므로 가장 강력한 기업결합 형태라 할 수 있다.
기준금리(base rate) 고정이자를 지급하는 확정수익부 금융수단들은 신용상태 등 고유한 특성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금리수준이 다양한데, 이들중 객관적으로 보아 가장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한다. 여기에 일정한 스프레드를 가감하여 실제 적용금리가 산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3년만기 회사채의 유통수익률이 있으며,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주로 런던은행간금리(LIBOR)가 많이 활용된다.
기초자산(underlying assets) 선물이나 옵션 등 파생금융상품에 있어서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으로 파생상품의 가치를 산정하는 기초가 된다. 파생상품에 따라 기초상품, 기초증권, 기초주식, 기초지수 및 기초통화 등이 있는데, 이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축통화 국제간의 무역 및 외환 거래에 있어서 주요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통화
기펜재(Giffen's goods) 가격이 하락할 때 오히려 수요량이 감소하는, 특수한 열등재를 말한다. 가격이 하락하면 실질소득의 증가에 따른 (-)의 소득효과가 (+)의 대체효과를 압도하여 전체 가격효과가 (-)값이 되는 것이다.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의 소득효과가 (-)의 대체효과를 압도하여 전체 가격효과는 (+)값이 된다. cf. 열등재
기하평균(geometric mean) 여러 개의 수치가 있을 때 이 수치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비율을 평균하는데 많이 쓰인다.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어떤 재화를 일정한 용도에 사용할 때, 그 재화를 다른 용도에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잃게 되는 편익을 의미한다.

출처 : 증권정보천리안
글쓴이 : 파리의 연인 원글보기
메모 : 증권용어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ㅁ"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ㄹ"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ㄷ"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ㄴ"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증권/주식 관련 용어해설  (0) 2009.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