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스크랩] "ㅊ"증권용어

설송대수 2009. 3. 17. 19:24

차감결제 (net balance delivery) 증권회사의 매매거래 수도결제시 각 중권회사별로 매도증권과 매수증권 또는매매대금을 각각 차감한 잔량이나 잔액만을 결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한편 증권회사의 수도결제방법에는 차감결제 이외에 한 증권회사의 매수와 매도를전액 또는 전량을 결제하는 전량결제방식도 있는데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차감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차익거래(差益去來, arbitrage transaction) 상품간 또는 시장간의 가격차이 즉, 시장불균형을 이용하여 매수와 매도를 상반되게 함으로써 자금과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 확실한 이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를 말한다. 즉, 일시적으로 현물과 선물시장 간의 실제 가격차이가 이론적인 가격차이와 크게 다를 경우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것을 매도한 후 정상가격 수준으로 돌아왔을 때 반대매매를 함으로써 무위험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 비차익거래
차익거래는 현물시장과 선물 등 양시장간에 가격이 괴리를 보여 양 시장간의가 있는경우, 즉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이 어느 한 시장요인에 의해 일시적 또는 순간적으로 정상적인 가격구조가 왜곡되어비정상적인 상태로 괴리되는 경우 이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무위험 이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이다.

즉 주가지수, 예상배당수익률, 단기금리 등을 고려해 볼 때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갈것으로 예상하여고평가된 선물이나 주식을 매도하고 동시에 저평가된 선물이나 주식을 매수함으로써이루어진다.

차익거래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매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시시각각 변하는 현물가격으로부터이론선물가격과 베이시스 등의 계산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재정평가 모델재정평가 모델은 1976년 예일대학의 로스 교수에 의해서 체계화된 것이다.자본자산평가 모델은 개별주식의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시장수익률이라는단일요인에 의해서 설명하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재정평가 모델은 개별주식의수익률에 공통적으로 주는 요인을 다중요인으로 보는 데서 출발한다.

APM과 CAPM과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APM이 거시경제요인을 사용하여 전체의 주가형성요인을 설명하는데 반해CAPM은 베타 계수에 의한 주가형성이론이다.
2)APM을 구성하는 거시적 요인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CAPM의 단일요인,즉 베타 계수는 불변이다.
3)APM은 특히 투자자의 위험선호에 가정을 두고 있지만 CAPM은 투자자가위험회피적이라는 가정을 한다.

CAPM이 주가지수로서 주가형성을 설명하는 것인데 반해 APM은 실제의경제요인으로서 주가, 투자수익 및 위험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APM은CAPM에 비해서 보다 실제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에 주가형성의 설명에 있어서CAPM보다 우수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APM을 사용하는 시스템 운용은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덱스펀드를 상회하는 운용수익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면 경기가 지금보다 상승하리라는판단이 있는 경우에는 제조업지수보다 민감도가 높은 주식에 비중을 두는 방법으로인덱스를 상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고객의 요구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에 강한 펀드, 경기에 민감한 펀드 등 특정한조건을 가진 인덱스 펀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요인의 민감도를 중립으로 하는경우에는 인덱스 펀드와 같아져 CAPM에 접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중에서 주가형성 및 선택이론은 APM과 CAPM으로집약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운용 중 포트폴리오 인슈어런스 및 프로그램 재정거래는선물, 옵션 이론을 이용한 기술적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차환(借還, refund) 신규로 사채를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기존의 사채를 상환하는 데 사용하는 것

참가적 우선주(participating preferred stock) 약정한 배당을 지급받은 뒤 보통주와 함께 추가적인 이익배당에 참여할 수 있는 우선주로서 투자자들에 대한 특별한 유인책으로 쓰인다. ⇔ 비참가적 우선주

창업금융 기업의 창업에 소요되는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금융으로 창업투자회사나 기술금융회사 등이 이를 담당한다.

채권 (bond) 1. 일반대중울 상대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하는 일종의 채무증서로서 주식과는 달리 타인자본이므로 일정기간 후에는 원리금을 상환하여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된다.

채권의 발행주체가 정부일 경우는 국채, 지방자치단체일 경우는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서 발행하는 경우는 특수채, 금융기관에서 발행하는 경우는 금융채, 일반기업에서 발행하는 경우는 회사채등으로 구분하며,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할인채, 복리채, 이표채로 구분하고 원리금지급보증 유무에 따라 할인채, 복리채, 이표채로 구분하고 원리금 지급보증 유무에 다라 보증사채,무보증사채,담보부 사채 등으로 나눈다.

2. 확정이자부 유가증권으로서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과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춘기업이 일반대중과 법인투자자들로부터 비교적 장기의 자금을 집단적·대량적으로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일종의 차용증서이다. 이는 보통 차용증서와 달리 법적인 제약과 보호를 받게 된다.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기관과 회사는 법률로서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과<상법>상의 주식회사만이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발행자격이 있더라도 정부는 국회의동의를 받아야 하고 회사는 공모할 경우 증권관리위원회에 등록을 한 후 증권감독원에 유가증권신고서를 미리제출해야 하는 등의 요식행위를 거쳐야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채권은 어음, 수표 등의 유가증권과 달리 유가증권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잇는편리성을 갖고있다.채권은 발행시 채무자가 지급해야 하는 이자와 상환금액이 이미 확정되어 있거나또는 그기준이 확정되오 있는 것이 본질이다. 따라서 확정이자부 증권, 이자지급증권, 기한부증권, 장기증권, 상환증권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채권은 자본증권 가운데서 일정한 이자를 지급받을 권리와 원금을 상환받을 권리가 주어져 있는 유가증권이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후 얼마나 이익을 얻을 수 있는가의 수익성과 원금과이자를 확실히 받을 수 있는 안정성, 돈이 필요할 대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성을 골고루 갖추고있다는 장점이 있다.주가산정모델주식의 주가는 기본적으로 주주에게 귀속되는 미래의 현금흐름(또는 배당가능 이익)을현재가치로 자본환원한 가치이다.현금흐름은 재무적인 현금흐름이 아니라 수익으로서 현금흐름을 의미한다.

주식투자는 장기적으로 주식에서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을 목적으로 한다.주식투자에서의 기대수익이란 기업이 대외에 의존하고 있는 부채에 대한 이자를 모두지급하고 난 후 초과수익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은 기본적인 수익을 제외시키고 초과수익만을 대상으로하여야 한다. 초과 수익은 배당가능 이익-기본수익으로 표시할 수 있다.배당가능 이익이란 스톡 개념으로는 전체 기업의 가치에서 타인자본을 공제한 부분이며,플로 개념으로는 감가상각, 이자지급 및 세후 순이익(당기순이익)이 된다.

그런데 기본수익가치의 산출에 앞서 주주의 투하원본인 주주자본을 계산하여야 하는데이는 타인자본을 공제한 기업의 청산가치로 평가해야 된다.

그러나 기업의 청산가치를 계산할 때에는 기업의 파산시 일시적으로 처분할 수 있는매매가격이어야 하고 이거을 그때 그때 가격으로 산정하여 계산한다는 것은 사실상불가능할 뿐 아니라 가격변동뿐 아니라 거래계약에 의한 협상가격이므로 의미도 없게된다.

따라서 장부가격을 기준으로 할 수밖에 없다. 물론 장부가격이 시가에 비해서 상당히낮은 것도 있을 것이고 상당히 높은 것도 있어 실제로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산정할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래서 기업의 미래수익의 가치를 산출하여 이를 시장주가와 비교하여 평가하는기본적인 분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미래의 수익은 과거의 재무제표를 기초로향후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방식을 많이 활용한다.

그런데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경우, 즉 세무초과 또는 특별손실 등으로 평균순이익이마이너스로 출발하는 경우는 사실상 주가산정이 불가능하여 분석에서 제외시킬 수밖에없다.정크 본드정크란 본래 쓰레기라는 뜻으로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B를 하회하는 등급을 받은기업이나 등급사정을 받지 않은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이다.이런 회사채는 보토채보다 기업이 부실하여 원리금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높기때문에 그만큼 고위험 ·고수익 회사채가 된다.

미국에서는1997년 Drexel Burham Lamber社가 처음으로 개발하여 1980년대는기업합병 및 인구의 붐이 일면서 관련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발행규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AA등급 이상의 기업만 무보증사채 발행을 허용하고 있어 정크 본드가생길 뎌지가 전혀 없으나 앞으로 금리자유화가 추진되고 실세금리가 국제수준에 접근하면정크 본드가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

채권가격지수 채권가격지수는 시장수익률의 변동에 의한 자본이득(또는 손실)과 기간이 경과하면발생하는 이자를 합친 채권가격의 움직임을 전 상장채권을 대상으로 산출하는단순수치이다.

그러나 채권은 주식과는 달리 상환 기간이 있기 때문에 발행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소멸하게 된다. 우리 나라에서 발행되는 채권은 5년 미만 단기채가 대부분이기 때문에전 상장종목을 지수채용 종목으로 할 경우 채용종목의 교체는 상당히 자주 발생하게된다.

뿐만 아니라 현재 상장되어 있는 채권의 발행종목수가 많으며 이는 앞으로도 늘어날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지수채용 종목으로 하여 매일매일의 가격지수를산출하는 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채권가격은 채권의 종류(복리채, 할인채, 이표채 등) 및 잔존기간에 따라 그 수준에현격한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분없이 가격지수를 산출하는 경우 지수로서의 가치가전혀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채권가격지수 산출상의 문제점을 보완화고 지수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전 상장채권 중 지수산출대상 종목을 채권의 종류 및 잔존기간별로 구분하여 여러 개의소그룹을 구성하고 각 소그룹별로 1개월 단위의 잔여기간을 갖는 소그룹의 대표종목을일정한선정기준에 의하여 선정하게 된다.

가격지수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확정된 대표종목의 가격을 기준시점의 가격과대비하여 산출하게 된다.유동성 프리미엄이론채권에 대한 위험을 고려할 경우 일반적으로 단기채권은 장기채권에 비해 위험이 작으며동시에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이 높은 것이 보통이다. 이에 비해 장기채권일수록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위험부담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만기가 길수록 증가하는 위험부담과 상실되는유동성에 대한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된다. 이처럼 기대이론에 유동성 프리미엄을 추가하여 상환기간에 따라 수익률에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하는 이론을 유동성 프리미엄이론이라고 하며 힉스(Hicks)에 의해 제시되었다.

따라서 채권의 보유기간 예상수익률은 장기 채권일수록 프리미엄만큼 더 높게 되어이이론에 의한 수익률 곡선은 기대이론에 의한 수익률곡선보다 항상 유동성 프리미엄만큼상위에 있게 된다.

또한 투자자들이 단기 이자율을 약간 하락하거나 또는 일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더라도수익률 곡선은 유동성 프리미엄의 영향으로 우상향의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채권등급평가(bond rating) 신용평가기관이 개별 채권에 대해 발행자의 재무상태 등 신용도를 기초로 그 신용등급을 사정하고 결정하는 것

채권등급평가기관이 개별 채권의 원금과 이자가 약속대로 상환될 가능성 정도를판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호나 문장으로 판정결과인 채권의 등급을 투자자에게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상법, 증권거래법 등 관련법규에서도 증권업자에 대한 규제 및 채권발행자에 대한공시요구를 통해 포괄적으로 투자자를 보호하고 있으나, 채권등급평가가 목적으로하는 투자자보호는 채권별, 발행자별로 개별적인 위험정보만을 전달함으로써 기존의법률이 보호하는 것을 보완하는 것이다.

따라서 채권등급평가는 개별 채권의 위험정도를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것이지 투자대상유가증권을 추천하거나 채권의 가격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매매가 수요와 공급의 시장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채권시장에서는위험이 낮은 채권은 높은 가격(낮은 채권수익률)으로, 위험이 높은 채권은 낮은 가격(높은 채권수익률)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채권등급평가는 채권시장에 있어서 투자자가 위험과 기대수익을 대응시켜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라 할 수 있다.

채권면역(債權免疫, immunization) 이자율의 변동을 상쇄하는 효과를 말하며, 이자율의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채권투자전략으로 쓰인다. 이는 투자한 채권의 만기수익률이 투자기간 중의 이자율 변동에 상관없이 목표수익률을 상회하도록 보장해주는데, 이러한 결과는 채권포트폴리오의 투자기간과 듀레이션이 일치할 때 달성될 수 있다. cf. 듀레이션

채권수익률 졀정요인 채권수익률의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채권내적 요인과 채권외적 요인으로 구별된다.내적 요인으로는 잔존기간, 표면이율, 채무불이행위험, 유동성 등이 있고 외적 요인으로는 경기동향, 물가수준, 통화금융정책, 시장의 수급관계, 시장자금사정(금리수준), 과세제도,환율 및 국제금리수준 등을 들 수 있다.

채권의 만기까지의 잔존기간에 따라 채권수익률이 달라지는데 만기가 길면 길수록 가격변동폭이커지고 유동성이 줄어서 장기채일수록 수익률은 이자부담을 감수하므로 이자율수준등을 들 수있다. 채권의 만기까지의 잔존기간에 따라 채권수익률이 달라지는데 만기가 길면 길수록 가격변동폭이 커지고 유동성이 줄어서 장기채일수록 수익률이 높아진다.

채권의 표면금리가 상승하면 자본한계생성의 증가로 높은 이자부담을 감수하므로 이자율수준이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표면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세후 수익률 하락폭만큼올라간다.채권은 원리금을 상환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으므로 발행자의 재무상 위험으로 불이행을 겸을 수있으므로 발행자의 신용도가 수익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1992년부터 무보증사채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신용도가 높은우량 대형회사에 국한하고 있고 거의 대부분이 보증채이므로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은 그만큼 적다고 할 것이다.지역개발 공채의 경우 발행량도 많지 않고 매수자가 보관하기도 힘들어(비상장, 소액권종) 유동성이크게 저하되면서 높은 유통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유동성이 채권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것이다. 경기동향, 자금사정,동화정책 등의외적 요인은 채권의 수요공급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쳐 채권가격 변동에 연결된다.채권의 경우수요는 가격에 탄력적인 데 비해 공급은 비탄력적이다.

즉 채권의 공급은 채권의 수요가 급증한다고 하여 급증하지 아니하고 일정한 공급계획에 의해서이루어져 채권가격 상승에 영향이 크다. 따라서 채권시세는 채권공급의 감소나 증가에서 이루어지는것이 아니라 채권의 수요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데 큰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경기가 상승국면에 있으면 기업의 생산활동이 활발해지고 설비투자가 왕성해져 자금수요가 늘어나금리상승 요인이 된다. 이에 반해 경기하강 국면에서는 생산활동이나 투자가 둔화되고 자금수요가감소하여 금리하락 요인이 된다.

그런데 정부가 경지진작을 위해서 국공채를 대량으로 발행할 경우가 있는데 이는 채권수익룰 상승요인이 된다.이 밖에 통화당국의 통화금융정책, 시중의 자금사정에 따라 채권의 수급이 변동하여채권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주가수준에 대한 분석투자종목을 선정하거나 투자의사를 결정할 때 절대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사항은주가수준에 대한 평가이다.주가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상승잠제력이 낮아 위험부담이 커지며 반대로 주가수준이낮으면 그만큼 상승 잠재력이 높아 위험부담이 적어지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주가수준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겠는가? 어떤 경우에는 경제 성장률이나 금리,통화량 등 실물경제지표와 연계시켜 주가수준을 산출하기도 하고 수익가치를 중심으로하는 PER, 자산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PBR이나 Q-ratio, 성장성을 중심으로 하는 매출액증가율이나 순이익증가율을 연계시켜 평가한다.

그러나 이는 각국의 투자환경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알맞은 방식으로 활용할 수밖에없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에 들어서 M & A가 빈번해져 Q-ratio라는 자산가치 중심지표가많이 활용되고 있고 다른 나라에 비해 배당성향이 높기 때문에 수익가치에 바탕을 둔PER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M & A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배당 성향도 다른 나라에비해서 대단히 낮기 때문에 PER나 PBR, Q-ratio만으로 주가수준을 평가하기는 어려운실정이다.

오히려 주식시장과 대체투자 관계에 있는 부동산, 채권, 사채, 예금 등 수익률을 비교하여적정한 주가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따라서 선진국과 같이 저 PER, 저 PBR 종목만 고집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채권스왑(bond swap) 채권의 수익률, 만기 및 시장이자율 등을 고려하여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다른 채권과 대체하는 것으로 대체스왑이나 이자율예상스왑 등이 있다.

채권약정서(bond indenture) 채권의 발행자와 채권자 사이에 채권발행에 대한 조건을 명시한 공식적인 약정증서로 채권의 종류, 금액, 담보자산, 보호조항 및 수의상환 관계 등이 명시된다.

채권의 원금상환방법

채권에 대한 원금상환방법은 만기일시 상환, 정기분할 상환, 감채기금부, 연속상환 등으로 구분된다.

  1. 만기일시 상환 : 우리 나라에서 대부분 발행하고 있는 형태로서 만기일에 일시적으로 전액 상환하는 방식으로 결국 사채상환을 위하여 다시 사채를 발행하는 차환발행이 많아지게 된다.
  2. 장기분할 상환 : 일정한 거치기간이 경과하면 만기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비율로균등하게 분할상환하는 사채이다.
  3. 감채기금부 사채 : 매년 일정액의 감채기금을 적립하여 이를 발행회사 또는 수탁회사가 운용하여 사채상환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4. 연속상환사채 : 사채 만기를 1년, 2년, 3년 등 여러 단계로 구분해서 발행하여 매년 연속해서 상환하는 사채이다.
  5. 임의상황사채 : 발행회사가 만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상환할 수 있는 사체이다.
  6.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의 발행시장은 1차적인 시장으로서 발행회사와 투자자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자본의 증권화시장인 데 반해 유통시장은 2차적인 시장으로서 투자자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증권의자본화시장이다.

    따라서 투자자간의 수평적 이전기능을 가지고 있는 횡적인 시장이며 발행시장이 간접적인 시장이라면 유통시장은 계속적·구체적·구조적인 시장이다. 채권투자는 과거에는 만기까지 보유하는 장기투자의 한 방법으로 고도로 발달된 유통시장의 필요성이 높지 않았다.

    그러나 유통시장의 발달과 함께 투자자들은 발행시장에서 취득한 채권을 매도하여 투자원금을 회수하거나 채권을 매입함으로서 자산의 운용수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유통시장에서의채권거래는발행자의 자금조달과는 무관하지만 적어도 두 가지 주요한 경제적 기능을 한다.

    즉 채권의 유동성을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투자자금의 조달을 용이하게 하며 이미 발행된 채권의가격을 공정하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발행시장에 있어서 기업의 자본비용을 판단하는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런데 채권의 유통시장이 이런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 우선 거래 대상이 되는 채권의 발행물량이 많아야 하고 발행된 채권이 다수의 투자자에게 분산되어 배도, 매수자가 많아야 하며 채권매매체계가 잘 정립되어 채권매매에 아무런 제약이 없어야 한다.

    현재 채권유통시장은 조직적인 시장인 거래소시장과 비조직적인 장외시장으로 구분된다. 주식의 유통시장과는 달리 장외시장의 비중이 절대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채권의 이자지급방법 채권의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이표채(금리확정부 사채, 금리연동부 사채), 할인채, 복리채가 있다.

  1. 이표채 : 일정기간마다 받을 수 있는 이표가 사채권에 첨부되어 있는 것으로, 이자율이 미리확정되어 있는 경우는 금리확정부 사채와 이자율이 정기예금 금리에 연동해서 결정되는 금리연동부 사채가 있다.
  2. 할인채 : 원리금을 액면으로 하고 이자 상당액을 액면금액에서 일시에 할인하여발행, 매출하는방식으로 선이자를 지급하는 셈이 된다.
  3. 복리채 : 이자가 단위기간 수만큼 복리로 재투자되어 원리금을 지급하는 사채를말한다.

채권투자전략 채권투자전략은 채권에서 오는 투자수익을 최고로 하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을말하는 것으로 이표전략, 만기전략, 평균기간전략, 채권수익률전략, 채권교체전략,채권면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표전략이란 이표율이 큰 채권일수록 채권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성질을 이용하여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이표율이 큰 채권에 투자하고 하락이 예상되면 이표율이 낮은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채권투자수익을 최대화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채권의 만기전략에는 사다리형과 아령형이 있는데 사다리형 만기전략은 각 만기별로채권을 고르게 보유하고 있어 시장금리 등락에 채권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인 데비해 아령형 만기전략은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에 집중투자하여 적극적으로 시장금리의등락에 따른 운용수익을 높이는 적극적인 투자전략인 것이다.

즉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단기채권에 집중시켜 채권가격 하락에 따른위험을 최소화하고 반대로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장기채권에 집중시켜채권가격 상승에 따른 투자수익을 최대화하려는 전략이다.

아령형 만기전략에서는 중기채권은 채권 포트폴리오에서 거의 제외시킨다.평균기간전략이란 이와 같은 개별채권에 대한 전략이 아니라 보유채권의 전반적이고종합적으로 평균기관을 조정하는 전략이다.

즉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평균기간을 축소시켜 채권가격 하락에 따른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고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평균기간을 장기화시켜 채권가격상승에 따른 투자수익을 최대화하려는 전략이다.

채권교체전략이란 채권의 수익률, 만기, 세금관련 등을 향후 금리변동을 예측하여투자수익을 높일 수 있는 종목으로 교체하여 나가는 전략을 말한다.

이에는 동질교체, 수익률차 교체, 단순수익률 취득교제, 이자율, 예상 교체, 세금교체,채권등급 향상교체, 가격탄력성 교체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채권투자전략은 금리예측을바탕으로 적극적으로 투자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만일 금리예측이 빗나간 경우에는오히려 투자수익보다 손실을 감수해야 되는 위험을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보수적인 투자전략으로 채권면역전략이 있다.채권면역전략이란 채권 포트폴리오의 평균기간을 투자자의 계획기간에 일치시키는전략으로 금리변동과 채권 수익률의 변동이 거의 일치할 수 있도록 금리변동에 따라위험부담을 제로화하는 것이다.

채무불이행(default) 채권의 발행자 또는 상거래에 있어서의 채무자가 예정된 이자의 지급이나 원금의 상환을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처분가치(abandonment value) 자산을 처분하여 받을 수 있는 시장가치로 포기가치라고도 한다.

청산(淸算, evening up) 장내중개인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반대매매를 통해 자기계정이나 고객계정의 잔고를 '0'으로 만드는 것으로 offset 또는 closure라고도 한다.

청산(淸算, liquidation) ①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시키는 것 ② 부채를 갚는 것 ③ 기업이 파산 등의 이유로 영업활동을 중지하고, 자산을 매각하여 부채를 변제한 후 잔여금액을 출자자들에게 배당하는 것

청산가치(liquidating value) 기업이 영업을 중지하고 청산할 때, 부동산, 기계설비 등의 자산과 지급해야 할 부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잔여자산에 대한 추정가치

청산거래(淸算[문서의 처음]">去來clearing transaction) 일정 대상물에 대해 매매약정을 체결한 후 특정기일에 수도결제하는 방식으로 계약시점과 결제시점 사이에 상당한 시차가 있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 이미 매매한 약정을 다시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도 있다. 실물거래의 여러 형태 중 당일결제거래에 가장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증거금거래라고도 하는데, 매매 및 결제 형태가 선물거래와 유사하다. 실물결제와 차금결제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청산거래는 매매하는 쌍방이 매도할 증권 또는 매수할 현금을 가지고 있지 않고미리 정해진 증거금만으로 매매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도기일이 도래하기 전에 매도측은 다시 매입을, 또 매수측은 전매를, 소위반대매매에의해서 매매가 되었을 당시의 약정가격과 그 반대매매의 약정가격과의 차액을 계산하여차금을 결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기일내에 반대매매를 하지 않을 때에는 수도기일에 가서 실물거래와 같이 증권과현금을 수도결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청산거래는 과당투기의 폐래를 면하기 어려워 과거여러 차례에 걸친 우리 나라의 증권파동은 주로 청산거래에 기인하였다.

따라서 과거 오랫동안 청산거래를 해오던 일본도 1945년부터 이것을 폐지하였고 독일도정기거래를 1931년의 증권파동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므로 미국과 일본을 위시하여 대부분의국가에서는 현재 실물거래뿐이다.

우리 나라도 1969년 2월부터 청산거래를 폐지하고 보통거래를 이에 대치하였다.

청산배당(liquidating dividend) 기업을 청산할 때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 즉 투자된 자본의 환급을 의미한다.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 ☞ 시장위험 ⇔ 고유위험

체계적인 위험이란 시장수익률의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말한다. 즉 시장수익률 변동요인인 결기,금리, 원자재 가격, 환율, 매출액, 기타 정치·경제·사회 등 주식시장에 미치는 변수에 따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비체계적인 위험이란 시장수익률 변동과는 무관하게 기업 고유의 변동요인에 따라서발생되는 위험이다. 예를 들면 생산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조업상황, 노사분규, 자금사정 등으로연관된 기업의 특수상황에 기인된다.

분산투자에서 체계적인 위험은 전 주식시장의 종목에 미치므로 위험이 감소될 수 없는 반면에 비체계적인 위험만이 구성 주식수가 증가하면 자연히 감소하게 된다.

조담 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보통주의 월간 수익률의 변동은평균적으로 87.7%의 비체계적인 위험과 12.3%의 체계적인 위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한다. 그리고비체계적인 위험은 15개 종목 이상의 주식으로 분산투자할 때 90% 이상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초과수익(excess return) 개별자산 또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중 무위험수익률을 초과하는 부분

총액인수(bought deal) 증권의 발행에 있어서 공모발행되는 증권 전액을 인수기관이 자신의 명의로 인수(매입)하여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분매하는 방식으로 인수기관은 발행사무 및 발행위험을 모두 부담한다.

총운전자본(total working capital) 1년 이내에 현금화 될 수 있는 유동자산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운전자본 개념으로 현금, 시장성유가증권, 외상매출금, 재고자산 및 선급금 등이 포함된다.

총유동성 총통화(M2)에 제2금융권의 예수금, 금융채, 상업어음, CD 및 RP를 모두 합한 금액이다. 이는 M3로 표기하는데, 총통화에 비해 훨씬 범위가 넓은 개념이다.

총자산수익률(ROA, return on assets) 세금을 차감한 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이 수익의 창출과정에서 주어진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했는가를 측정하는 수익성 지표다.

총자산회전율(TATO, total assets turnover ratio)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이 보유자산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활동성비율의 하나이다.

총통화 일반이 보유한 현금에 은행의 요구불예금을 합한 금액 즉, 통화(M1)에 저축성예금을 합한 것으로 여기에 CD는 포함되지 않는다. 총통화는 M2로 표기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통화량 개념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통화량을 관리하는 중심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M2를 개량한 M2A나 M2B도 있는데, M2A는 M2에서 장기저축성예금을 제외한 것으로 단기적인 통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다.

총포지션(gross position) 동일 종목의 매수 및 매도 포지션 전부를 합산한 포지션 ⇔ 순포지션

최대수익률포트폴리오(MRP, maximum return portfolio) 주어진 투자기회집합으로부터 도출된 효율적 투자선 상의 포트폴리오 중 수익률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 ⇔ 최소분산포트폴리오

최소분산포트폴리오(MVP, minimum variance portfolio) 주어진 투자기회집합으로부터 도출된 효율적 투자선 상의 포트폴리오 중 분산이 가장 작은 포트폴리오 ⇔ 최대수익률포트폴리오

최적자본구조(optimal capital structure) 기업은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위해 가중평균자본비용이 가장 낮아지는 수준에서 자본구조를 선택하게 되는데, 자본비용을 최소로 하는 자기자본과 부채의 최적결합을 말한다.

추가경정예산 본예산에 의거, 예산을 집행하는 도중에 국내외 경제상황의 급변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돌발사태 등으로 예산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추가 또는 경정하여 편성하는 예산

추가증거금(additional margin) 선물이나 옵션의 거래에서 일일정산 결과 고객의 증거금이 유지증거금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중개회사가 고객에게 개시증거금 수준까지 증거금을 추가로 납입하도록 요구하게 되는데, 이 때 추가로 요구되는 증거금을 말한다.

추가형 투자신탁(fund type investement trust) ☞ 기금형 투자신탁

추락천사(fallen angel) ① 과거의 인기를 상실한 주식 ② 투자적격등급이었던 채권이 발행기업의 신용 실추로 인해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하락한 채권

추세분석(trends analysis) 어떤 변수의 일정기간동안의 비교적 안정적인 움직임 즉, 추세를 분석하여 미래의 동향을 예측하려는 통계적 기법을 말한다. 기업에서는 특정 비율이나 지표의 추세 즉, 시간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미래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추세분석은 주가가 어느 기간 동안 일정한 방향으로 추세를 보이며 움직이는경향이 있다는 성질을 이용한 기법이다.

주가란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주가의 움직임을 도표화하여 보면어떠한 추세, 즉 상승·하락 또는 수평추세 중 어느 하나의 추세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추세선이란 한 번 형성되면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한 방향으로만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상승에서 하락이나 보합으로, 하락에서 상승이나 보합으로, 보합에서 상승이나 하락으로 변화되며 새로운 추세선을 형성한다.

추세분석은 이와 같이 변화하는 주가의 움직임으로부터 추출되는 추세선을 관찰하여주식의 매매시점을 포착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추심(推尋) 수표 또는 어음에 대해 은행이 소지인의 의뢰를 받아 지급인에게 제시하여 지급하게 하는 것

추정재무제표 각 항목에 대해 실제치가 아닌 추정된 수치를 적용하여 작성된 재무제표

충당금(reserve) 장래에 발생할 지출에 대하여 준비금으로 미리 설정된 자금

침체국면 다우이론에서 주추세의 진행과정중 약세 3국면을 말하는 것이다.이때에는 공포국면에서 미처 처분하지 못한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이 출회됨으로써투매(投賣)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투매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주가는 계속하락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주가의 낙폭(落幅)은 줄어든다.

주가는 계속하락하고 기업의 수익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등의 좋지 못한 정보가 주식시장에 퍼져 있기 때문에 이를 침체국면이라고 한다.

출처 : 증권정보천리안
글쓴이 : 파리의 연인 원글보기
메모 : "ㅊ"증권용어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ㅌ"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ㅋ"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ㅈ"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ㅇ"증권용어  (0) 2009.03.17
[스크랩] "ㅅ"증권용어  (0) 2009.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