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이야기

[스크랩] 좋은 돼지고기 고르는 법

설송대수 2008. 9. 1. 16:20
 
돼지고기의 등급은 육량과 육질을 종합하여 판정합니다.
(A등급, B등급,C등급,D등급,E등급)
→ 암돼지이거나 거세돼지로서 비육이 잘 된 경우에만 A, B등급으로 판정받을 수 있습니다.
 
돼기고기의 품질은 쇠고기와 같이 근내지방도, 고기색 및 지방색, 고기의 결, 수분삼출도 등에 의해 결정되며 소비자들은 육질등급(A등급, B등급,C등급,D등급,E등급)을 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상육   PSE육
돼지고기는 근내지방이 섬세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수록 맛이 부드럽고 좋으며 냉도체 등급판정방법에 의한 육질등급도 근내지방이 많을수록 좋게 나타납니다.
 
PSE고기란?
  PSE고기는 색이 창백하고(Pale), 탄력이 적고(Soft), 육즙이 많이 흘러나와(Exudative) 물컹거리는 고기로 품질이 떨어지므로 구입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고기는 스트레스에 민감하거나 도축 전후에 부적절하게 가공과정이 이루어진 돼지에서 생산된 고기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돼지고기의 육색은 옅은 선홍색을 띠면서 윤기가 나는 것이 좋습니다. 대체로 돼지고기는 쇠고기보다 색깔이 옅으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돼지고기(PSE육: 물돼지고기)는 육색이 창백하고 탄력성이 적어 물렁거리며 육즙이 많이 흘러나오므로 구입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육이 잘된 돼지고기는 지방색이 최고 단단할 뿐만 아니라 육질이 연하고 향미가 좋습니다. 반면, 지방이 지나치게 무르거나 노란색을 띠는 고기는 좋지 않습니다.
출처 : 농협중앙회 인천동부급식영업점
글쓴이 : 농협중앙회목우촌 원글보기
메모 : 돼지이야기